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흰쥐 뇌의 선조체에서 망간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Mangane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the Corpus Striatum of the Rat Brain

동물이나 인체에서 필수원소의 하나인 망간은 결 핍시에는 성장장애, 골격변형, 생식불능이나 신생아 사망 등을 유발하고(Hurley, 1981), 과다 노출시에 는 망간중독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반적인 노출원은 망간광석, 망간제련 및 합금, 망간 함유 세라믹, 건전지의 분극제, 화학공업의 산화제, 농약 생산 및 망간 흄이 발생하는 용접작업 등의 직 업적 노출이며, 최근 무연가솔린 및 제트연료의 항 녹킹제로 이용되는 m e t h y l – c y c l o p e n t a d i e n y l manganese tricarbonyl (MMT)에 의한 노출도 문제시 되고있다(Zayed et al, 1999). 또한, 고농 도의 망간을 함유하는 곡물과 육류의 섭취 및 살충 제에 의해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서도 흡수될 수 있 으며, 성인의 경우 1일 약 4 ㎎이 식품섭취를 통해 흡수된다(U.S.EPA, 1984). 망간중독증의 초기에는 피로감, 두통, 수면과다, 무기력 및 무관심과 같은 비특이적 증상과 정서변화, 정서불안정, 강박성 웃음 및 환각과 같은 증상이 주를 이루어 망간정신병(manganese psychosis)이라 불리 우며, 노출이 지속되면 진전, 구음장애, 보행장애, 행 동이 느려지는 증상, 소자증 및 자세이상 등 특발성 파킨슨병에서 나타나는 추체외로계 이상소견과 유사 한 운동장애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Calne et al., 1994; Huang et al., 1998). 최근, 망간중독 과 파킨슨병의 임상 양상의 유사성으로 인해 일부 신 경변성질환의 발병에 망간과 같은 전이금속이 관련된 다는 환경성 원인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Feldman, 1992). 망간에 의한 신경독성의 병리기전에 대해 현재까 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망간중독 후 경과 시기에 따라 생체에서 관찰되는 생화학적 변화에 차 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초기에는 도파민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e hydroxylase의 활성도 증가(Bonilla, 1980), 선조체의 도파민 교체율 (turnover rate)의 증가(Barbeau, 1984), Nmethyl-D-aspartate (NMDA) 의존성 글루탐산 염(glutamate)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시납스전 도파민 자가수용체의 손실(Cuesta de Di Zio et al., 1995) 등이 관찰되는데, 이 결과들은 뇌조직의 도파민 농도나 활동성 증가가 중독 초기에 보이는 정신분열증과 유사한 임상증상의 발현과 관련됨을 시사한다. 반면 추체외로계 관련 증상은 도파민을 비롯한 카테콜아민의 자가산화반응의 증가와 그 대 사산물인 cyclized ortho-quinone 및 부수적으로 생성된 산소유리기가 세포독성에 기여하여 이로 인 한 뇌조직내 도파민 농도의 일시적인 감소와 관련되 며, 만성 망간중독증은 산소유리기(oxygen free r a d i c a l )와 a p o p t o s i s에 의한 세포사(cell death)가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rchibald & Tyree, 1987; Segura-Aguilar & Lind, 1989). 한편, 뇌조직은 산소유리기의 민감한 표적물인 다 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특히 다수의 이중결합 구조를 지닌 e i c o s a p e ntanoic acid와 docosahexanoic acid가 타 조직에 비해 풍부하게 존재하고(Esterbauer et al., 1991), 뇌세포의 O2 소모량이 많은 점, Fe2 +의 풍부 함 및 catalase 같은 항산화 효소의 부족( H a l l i w e l l , 1992) 등의 이유로 인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쉽 게 지질과산화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 며 최근에는 파킨슨병, 알쯔하이머병, 근위축성 측 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과 같은 신경변성질환의 병인으로 산소유리기와 지질과산화 반응이 지목되고 있다(Halliwell & Gutteridge, 1 9 9 8 ) . 이 연구는 망간에 의한 신경독성이 산소유리기에 의해 매개된 과다한 지질과산화반응에 기인한다는 가 설 하에 망간을 투여한 흰쥐 뇌의 선조체에서 s u p e roxide dismutase (SOD) 활성도, malondialdehyde (MDA) 농도 및 지방산 조성 변화를 비교·분 석함으로써 망간중독증의 병리기전에서 산화적 스트 레스의 역할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