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알코올은 가장 흔한 의존성 약물로 이로 인한 생물학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들이 야기 되고 있다. 민성길( 1 9 9 5 )에 의하면 한국에서 알코올 남용이 12%, 알코올 의존이 10%, 전체 알코올 중 독의 평생 유병률은 2 2 %로 매우 높고 성별로는 남 자가 9 5 %를 차지하고 있어 근로자의 건강을 담당하 고 있는 산업의학 의사들이 남자 근로자들의 알코올 과 관련한 건강문제에 조기 개입하는 것은 중요하다 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선별도구로 흔 히 쓰이는 두가지 선별도구인 MAST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와 CAGE (4가지 질 문에 대한 약어- ① Have you ever felt you should Cut down your drinking? ② H a v e people Annoyed you by criticizing your drinking? ③ Have you ever felt or Guilt about your drinking? ④ Have you ever had a drink first thing in the morning to steady your nerves to get rid of a hangover(Eyeo p e n e r ) ? )는 처음부터 알코올 의존 환자의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도구로써 이보다 낮은 단계인 위험 및 유해음주의 선별에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Adams 등, 1996; Cherpitel, 1995). 이러한 한 계점을 극복하고 알코올 의존 이전 단계인 위험 및 유해음주를 조기에 발견하기위해 6개국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보건기구( W H O )에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를 개발하였다 (Babor 등, 1989; Saunders 등, 1993). AUDIT 는 1 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음주의 양에 대 해 3문항( 1 – 3번 문항), 음주행태에 대해 3문항( 4 – 6 번 문항), 정신-사회학적 문제의 유무에 대해 4문항 ( 7 – 1 0번 문항)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기존의 알코 올 사용 장애에 대한 선별도구들이 가진 정신-사회 학적 개념에 생물학적 개념이 추가된 포괄적인 질병 개념을 채택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 Bohn 등 ( 1 9 9 5 )과 Piccinelli 등( 1 9 9 7 )이 A U D I T의 타당도 를 입증하였고 국내에서도 김종성 등( 1 9 9 9 )이 술을 마시는 성인남자 8 5명과 알코올 의존 남자 환자 1 1 명을 대상으로 A U D I T설문 결과가 정신과 의사의 진단결과나 MAST 및 C A G E의 점수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 국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고 보고하였 다. 장기간 알코올 섭취시 상기의 정신-사회학적 문제 뿐만 아니라 간에도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데 이 는 섭취한 알코올의 80% 이상이 간에서 대사되기 때문이다(Takagi 등, 1986). 손상된 간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로써 간기능 검사는 생화학적 검사이 면서 안전하고 저렴하며 동반되는 위험이 없어 간질 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가장 먼저 시행된다. 근로 자 건강 검진시 산업안전보건법( 1 9 9 7 )상 혈청 간효 소인 SGOT (serum aspartate-aminotransferase), SGPT (serum alanine-aminotransferase), γGTP (serum gamma- glutamyltra n s f e r a s e )를 선별검사항목으로 선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A U D I T (Saunders 등, 1993)를 이용하여 정상, 위험 및 유해음주와 간기능 검사와의 연관성 비교와 A U D I T 의 활용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score and liver function test. Methods: AUDI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40 blue-collar workers. We compared liver function test with firstly, normal and hazardous drinking as defined by WHO, and secondly, with normal, hazardous and harmful drinking as measured by Kim et al.(1999). We also compared influencing factors on abnormal liver function. Results: By simple analysis in the normal BMI group, abnormal liver func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hazardous drinking (odds ratio 2.81) based on the guideline of WHO. By chisquare test for linear trend in the normal BMI group, abnormal liver func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hazardous drinking (odds ratio 1.23) and harmful drinking (odds ratio 2.14) based on the guideline of Kim et al.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bnormal liver func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UDIT questionnaires No. 1-3 (odds ratio- high risk 2.39), age (odds ratio- thirties 1.95, forties 2.40, fifties 3.85), BMI (odds ratio- overweight 1.66, obesity 4.53), guideline by WHO (odds ratio- hazardous drinking 2.10), and guideline by Kim et al (odds ratio- harmful drinking 2.20) C o n c l u s i o n s: We found that the problem of alcohol drinking as measured by AUDI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AUDIT will be useful for the predictive test of abnormal liver function and screening test of hazardous and harmful dr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