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를 이용한 경도 소음성난청의 청력손실 예측

The Predictive Study for Hearing Loss using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in Mild Noise-Induced Hearing Loss

소음성난청 예방은 소음원의 제거, 격리, 흡음, 차 음 등의 공학적 관리가 가장 효과적으로 여겨지고 있으나(Niland & Zenz, 1994) 우리나라 전체 사 업장의 대부분인 9 8 . 5 %가 3 0 0인 미만의 중소 영세 사업장이기 때문에(노동부, 1992) 비용적인 부담과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작업공정개선의 현실적인 접근 은 쉽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소음측정, 청력검 사 및 이학적 판정을 바탕으로 한 청력 보호구 착용 과 근로자에 대한 보건교육 및 훈련 등의 소음폭로 작업자 관리가 작업장 관리보다 우리나라 실정에 보 다 적합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구정완 등, 1998).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소음폭로 작업자 관리의 주요 내용은 소음폭로시간 단축, 보 건교육, 보호구 착용 등이며, 이러한 소음폭로 작업 자 관리는 소음폭로 근로자들에게 매년 실시되고 있 는 소음 특수건강진단 자료를 기초로 운영되고 있 다. 그러므로 보다 효율적인 소음성 난청 예방관리 를 위해서는 소음 특수건강진단의 역할이 더욱 중요 할 수 밖에 없다.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특수건강진단 기관은 순음 청력검사를 통해 소음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고 있 다. 그러나 순음청력검사는 간단하고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기는 하지만 피검자의 의도가 개입될 수 있 는 주관적 검사방법이라는 결정적인 제한점을 가지 고 있다(백만기, 1994). 따라서 소음성난청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검사 방법을 이용한 소음폭로 근로자들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난청의 객관적인 검사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행 되고 있지만 이음향방사검사(Otoacoustic Emission, O A E )는 측정이 빠르고 객관적이며 비침습적인 검 사 방법이기 때문에 신생아 청력검사(Stevens et al, 1991), 소음성 난청(Martin et al, 1990), 메 니에르병(Kemp et al, 1986) 그리고 난청의 감별 진단(Bonfils et al, 1989) 등에 이용되고 있어 그 유용성이 커지고 있다. 이음향방사는 1 9 4 8년 G o l d 가 처음으로 와우 기저막의 능동적인 반응에 의해 이음향방사가 발생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고, 1978 년 K e m p가 이음향방사 측정에 성공하였다. 이음향 방사의 종류는 음자극이 없이 감지되는 자발이음향 방사(Spontaneous OAE)와 음자극에 의해 생기는 유발이음향방사(Evoked OAE)로 대별되며, 유발이 음향방사는 일과성이음향방사(Transient EOAE), 주파수반응 유발이음향방사(Stimulus Frequency OAE), 변조이음향방사(Distortion Product O A E )로 분류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음향방사 검사들 중에서 특히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는 검사방법이 간단하고 주파수 특성을 가지므로 국소적인 와우기능을 평가할 수 있 어 임상적인 유용성이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Kim et al, 1980 ; Martin et al, 1990 ; Ohlms et al, 1991 ; 장주용 등, 1999). 그러므로 근래의 연구들은 중등도 이상을 포함한 모든 감각신 경성 난청자들에 대해 변조이음향방사 검사의 반응 유무를 근거로 정상 청력과 비정상 청력 여부를 감 별해 보려는 시도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Kimberley et al, 1994 ; Kimberley et al, 1995 ; Gorga et al, 1997) 이러한 연구들은 경도 의 감각신경성 난청에서 난청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변조이음향방사 진폭의 감별 기준점을 제시하 지 못하기 때문에, 경도 감각신경성 난청자들에 대 한 선별검사(screening test)시 변조이음향방사 검 사를 활용하는데 있어 제한점이 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이 경도의 감각신경성 난청에서 난청의 정도 를 감별할 수 있는 변조이음향방사 진폭의 감별 기 준점을 제시하지 못한 이유는 변조이음향방사의 반 응이 완전히 소실되는 중등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 청자들 까지 모두 연구 대상에 포함시킨 것이 중요 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순음청력검사 결과 이음향방 사 검사의 반응이 소실되지 않은 4 0 0 0 H z에서 4 0 d B HL 이하인 소음노출 근로자들과 정상인들을 대상으 로 경도 소음성난청의 정도를 감별할 수 있는 변조 이음향방사 진폭의 감별 기준점을 제시한 후, 이러 한 기준점을 적용하였을 경우 변조이음향방사 진폭 의 경도 소음성난청에 대한 정확도 및 예측도를 추 정함으로서 경도 소음성난청자들에 대한 선별검사 (screening test)시 변조이음향방사 검사의 활용 가 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