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GTS 환자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요중코티닌 농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GTS의 객관적인 진단을 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담배수확과 관련하여 GTS로 추정되는 담배 재배농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1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와 요중 코티닌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원자 중 환자군과 지역, 연령 및 성별이 비슷한 10명을 대조군으로 요중 코티닌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요중 코티닌 농도는 기하평균과 기하표준편차로 산출하였고,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요중 코티닌 농도의 유의성은 한글 SPSS 10.0의 Mann-Whitney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환자군의 성별 분포는 남자 3명(70.0%), 여자 7명(30.0%)이었고, 연령별로는 40대가 5명(50.0%)으로 가장 많았다. 발생일별 분포는 첫 환자는 7월 17일에, 마지막 환자는 8월 1일에 발생하였다. 시간대별 분포는 정오부터 오후 6시까지 5명(50.0%), 일몰 후에 5명(50.0%)이었다. 호소한 증상별 분포는 오심 10명(100.0%), 어지러움 9명(90.0%), 무력감 8명(80.0%), 두통 7명(70.0%), 불면증 6명(60.0%) 등이었다. 작업 시작후 증상 발현까지 시간은 중앙값이 4.3시간(최소2.5시간, 최대 11시간)이었다. 요중 코티닌 농도는 기하평균이 환자군에서 497.6±2.5 ng/㎖(최소: 73.1, 최대: 2,574.3)으로 대조군의 32.7±1.8 ng/㎖(최소: 13.3, 최대: 76.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비흡연자의 요중 코티닌 농도는 기하평균이 환자군 366.1±2.2 ng/㎖ (최소; 73.1, 최대; 856.0), 대조군 29.7±1.7 ng/㎖(최소; 13.3, 최대; 76.9)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 우리나라의 담배 재배농에 대하여 GTS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작업 전·후 또는 담뱃잎을 수확하는 시기와 수확하지 않는 시기의 소변 내코티닌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GTS를 홍보하고 예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s of Korean tobacco harvesters with green tobacco sickness (GTS).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measured the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s among the cases who visited six health subcenters and the emergency room in the Health Center and County Hospital after harvesting tobacco leaves in Cheongsong-gun, from Jul 15 to Aug 15, 2002. Ten suspected GTS cases were compared to 10 controls matched for residence, age, and sex. Urinary cotinine was analyzed with a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ystem and expressed as geometric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ata collected were evaluated using the SPSS/win statistical package and the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Results: In both the 10 cases and controls, there were 3 males and 7 females. Ages ranged from 22 to 70 years old. Half of the cases were reported within the 6 hours between 12:00 pm and 17:59 pm. The median time from starting work to initially feeling ill was 4.3 hours (min. 2.5; max. 11.0). The GTS symptoms reported were nausea in 10 cases (100.0%), dizziness in 9(90.0%), weakness in 8 (80.0%), headache in 7 (70.0%) and other symptoms. The geometric mean of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cases at 497.6 ±2.5 ng/㎖ (min. 73.1; max. 2,574.3) than in controls at 32.7 ± 1.8 ng/㎖ (min. 13.3; max. 76.9).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many tobacco harvesters may suffer from GTS in Korea.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doctors to diagnose exactly the GTS. Also we must develop the methods which can prevent GTS, and simple methods of analysis for urinary cotin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