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는 현악전공 대학 신입생들의 연주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3개 음악대학의 현악기를 연주하는 신입생 199명을 대상으로 연주관련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증상유병률과 관련요인은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주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은 Southampton Protocol을 이용하였다. 결과: 신입생들의 평균 연주기간은 9년 7개월이었다. NIOSH 기준을 하지까지 확대한 감시기준에 의하면 연주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유병률은 73.4%였다. 연주관련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은 어깨 부위가 가장 높았다. Southampton Protocol을 이용한 연주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은 54.3%이었고, 그 중 근막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이 가장 높았다. 단변량 분석에서 악기군(바이올린 또는 비올라 vs 첼로 또는 베이스)과 규칙적인 휴식, 연주자세에 대한 주관적 인식 그리고 정기적인 컴퓨터 사용이 연주관련 근골격계 증상유병률과 관련성이 있었다(p<0.05). 다변량 분석에서는 악기군(바이올린 또는 비올라 vs 첼로 또는 베이스), 규칙적인 휴식, 정기적인 컴퓨터 사용이 연주관련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결론: 이번 연구는 현악전공 대학 신입생들이 근골격계 질환의 고위험 집단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연주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을 위해 인간공학적 연주환경을 구축하고, 이완연습이나 육체적 스트레칭 같은 연주전 준비연습 프로그램의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연주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조기발견을 위한 진료체계를 확립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playing-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RMDs) of some music college freshmen majoring in string instrum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99 freshmen majoring in strings at three colleges in Seoul and sur-rounds. The symptom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PRMDs were survey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outhampton Protocol was used to diagnose PRMDs. Results: The freshmen had played for 9 years and 7 months on average. The symptom prevalence of PRMDs according to the modified-NIOSH surveillance criteria was 73.4%. The shoulder was the most prevalent symptom complaint site. The prevalence of PRMDs by the Southampton Protocol was 54.3% and myofascial pain syndrome was the most common. The instrument (violin or viola vs. cello or bass), regular breaks, self perceived evaluation of playing posture and regular computer use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symptom prevalence of PRMDs in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0.05). The instrument, regular breaks and regular computer use 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symptom prevalence of PRMD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0.05).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music college freshmen playing strings are a high risk group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refore, the prevention of PRMD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n ergonomic playing-environment, and the education of comfortable posture and stretching program such as musical warming up and physical stretching.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form an effectiv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earlier diagnosis for musicians who are suffering from the PR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