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1개 사업장 코호트를 대상으로 기존에 제시된 8가지 청력 역치이동 기준과 국내 소음성 난청 진단기준을 비교하여 그 활용성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일개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10년 연속 0.5~6 kHz의 완전한 청력검사 결과를 가지는 491명의 근로자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외국의 8가지 청력역치이동 기준(15 dB once, NIOSH(1972), 10 dB average 3~4 kHz, OSHA STS, AAO-HNS, 15 dB twice, 15 dB 1~4 kHz, OSHA STS twice) 및 우리나라의 소음성 난청 진단기준(3분법)을 적용하여 연구기간 내 역치이동 정도와 최초로 나타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양성 역치이동이 적어도 한 번 나타나는 근로자들은 ‘once’ 기준에서는 NIOSH (1972)가 92.5%, ‘Average’ 기준에서는 10 dB average 3~4 kHz가 35.8%, ‘twice’기준에서는 15 dB twice가 44.4%로 나타났다. 첫 양성 역치이동이 나타나는 기간은 NIOSH(1972)가 3.2±3.1년, OSHA STS twice는 6.0 ± 2.1년 이 었 다 . 진양성 역치이동의 퍼센트는 20.4%(AAO-HNS)~69.8%(NIOSH, 1972)의 범위였다. 같은 기간 동안 대상 근로자 중 우리나라 소음성 난청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사람은 10명(2%)이었다. 고찰: 일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청력 역치이동 기준을 적용하여 각 기준들의 타당성과 활용가능성을평가한 결과 NIOSH (1972)기준과 15 dB once기준이 비교적 예민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양한사업장의 자료에 대해 각 기준을 적용해 봄으로써 어느 기준이 우리나라 근로자의 청력변동을 평가하는데 용이하고도 타당한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Workers from a factory was selected to compare 8 standard threshold shift criteria with the Korean diagnostic criteria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for this cohort study. Methods: From 1990 to 1999, 491 workers at a manufacturing company with complete record of the hearing test covering the range of 0.5~6 kHz for 10 consecutive years were finally selected. Eight standard threshold shift criteria (15 dB once, NIOSH (1972), 10 dB average 3~4 kHz, OSHA STS, AAO-HNS, 15 dB twice, 15 dB 1~4 kHz, OSHA STS twice) along with the Korean standard for diagnosing the noise-induced hearing loss (the average hearing threshold at 0.5, 1 and 2 kHz) were compared to calculate the degree of the threshold shift and the minimum time required to detect the change. Results: Those workers showing at least one positive shift in the ‘once’criteria of NIOSH (1972) were 92.5%; the ‘average’criteria of 10 dB average 3~4 kHz were 35.8%; ‘twice’criteria of 15 dB twice were 44.4%. The duration from the baseline to the year showing the first positive shift was from 3.2 ± 3.1 years (NIOSH, 1972) to 6.0 ± 2.1 years (OSHA STS twice). The percentage of true positive shift ranging from 20.4% (AAO-HNS) to 69.8% (NIOSH, 1972). There were 10 (2%) which met the Korean diagnostic criteria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Conclusions: Currently the concept of hearing threshold shift in diagnosing the hearing loss was adopted in Korea thu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validity and the effect of the various hearing threshold shift criteria and showed that NIOSH (1972) criteria was the best of all. In the future, hearing data from various manufacturing workers should be compared to thoroughly evaluate the threshold shift criteria and to establish adequate standard for Korean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