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청력보존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표준 역치이동 기준들의 비교

Comparison of the Standard Threshold Shift Criteria for Evaluating Hearing Conservation Programs

목적: 1개 사업장 코호트를 대상으로 기존에 제시된 8가지 청력 역치이동 기준과 국내 소음성 난청 진단기준을 비교하여 그 활용성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일개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10년 연속 0.5~6 kHz의 완전한 청력검사 결과를 가지는 491명의 근로자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외국의 8가지 청력역치이동 기준(15 dB once, NIOSH(1972), 10 dB average 3~4 kHz, OSHA STS, AAO-HNS, 15 dB twice, 15 dB 1~4 kHz, OSHA STS twice) 및 우리나라의 소음성 난청 진단기준(3분법)을 적용하여 연구기간 내 역치이동 정도와 최초로 나타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양성 역치이동이 적어도 한 번 나타나는 근로자들은 ‘once’ 기준에서는 NIOSH (1972)가 92.5%, ‘Average’ 기준에서는 10 dB average 3~4 kHz가 35.8%, ‘twice’기준에서는 15 dB twice가 44.4%로 나타났다. 첫 양성 역치이동이 나타나는 기간은 NIOSH(1972)가 3.2±3.1년, OSHA STS twice는 6.0 ± 2.1년 이 었 다 . 진양성 역치이동의 퍼센트는 20.4%(AAO-HNS)~69.8%(NIOSH, 1972)의 범위였다. 같은 기간 동안 대상 근로자 중 우리나라 소음성 난청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사람은 10명(2%)이었다. 고찰: 일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청력 역치이동 기준을 적용하여 각 기준들의 타당성과 활용가능성을평가한 결과 NIOSH (1972)기준과 15 dB once기준이 비교적 예민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양한사업장의 자료에 대해 각 기준을 적용해 봄으로써 어느 기준이 우리나라 근로자의 청력변동을 평가하는데 용이하고도 타당한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