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용제는 산업의 발달에 따라 그 사용량이 증가 하고 있으며 벤젠의 독성이 알려짐에 따라 대체물질 로서 톨루엔과 크실렌이 산업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유기용제 중 톨루엔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크 실렌에 관한 연구는 톨루엔에 비해 드물어, 조병만 (1989), 배기택 등(1991) 그리고 장성훈(1995)이 톨루엔과 크실렌을 동시에 연구한 바가 있을 뿐이 다. 이는 사업장에서 톨루엔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많은 근로자가 이에 노출되는 현실적 측면의 반영이 라 생각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업종인 조선업의 경우, 신 용철 등(1999)과 조수헌 등(2000)에 의하면 톨루엔 에 대한 노출은 10 % 내외에 불과하였고, 크실렌의 경우는 70 %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 서 조선업 도장작업자를 유기용제 혼합노출지표와 함께 크실렌의 노출를 평가하는 것은 산업보건 관리 에 매우 중요하다. 조선업의 도장작업은 필수적인 공정으로 도장작업 근로자는 도장 재료에 함유된 다양한 유해물질에 노 출 될 수 있다(Burgess, 1981; Cralley 등, 1989). 또한 근로자의 유해물질의 노출정도는 작업 공정, 작업장 조건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변이가 크기 때문에 역학조사나 작업환경 개선대책을 수립 함에 있어 이런 요인에 따른 노출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조선업체에서의 도장작 업은 옥내, 옥외 및 선체 등에서 도장이 이루어진다. 선체 안과 블록 안은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고농 도의 유기용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작업 공간 특성에 따라 근로자의 노출수준은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요인별 노출 농도에 대한 정보는 근로자의 노출을 추정하거나 관리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erin 등(1993)이 용접자들의 동일노출군을 용접공정 노출 매트릭스(welding process exposure matrix)로 구분한 것과 같이, 도장작업자를 동일한 방법으로 세분화하여 유사하게 노출되는 작업자를 하나의 노 출군으로 분류하여 노출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유사하게 노출되는 작업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동 일노출군(homogeneous exposure group)이라는 개념이 그 동안 사용되어 왔다. 동일노출군이란 단 일 유해인자에 대한 동일한 노출 확률을 가진 근로 자 집단, 즉 동일한 노출 양상을 가지리라 기대되는 근로자 집단을 말한다(Rappaport 등, 1993). 무작 위로 추출된 적은 수의 표본은 그 동일노출 집단내 의 노출 분포와 추이를 정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하다는 표현은 엄격한 통계적 정의가 있 어야 하기 때문에 연구자들간에도 많은 혼란을 초래 하였다(Cole, 1994; Gomez, 1994; Scheffers, 199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사노출군 (similar exposure group)이라는 용어가 최근 사 용되고 있다. 유사노출군은 작업의 유사성과 빈도, 사용물질과 공정, 작업 수행방식의 유사성 등 유사 한 작업자 군을 의미한다(노재훈 등, 2001). 유사 노출군이 결정되면 모든 근로자는 적어도 어 느 한 집단에 배치가 된다. 유사 노출군에 대한 노출 평가(exposure assessement) 결과는 유해인자의 관리와 역학조사시 노출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들을 유사노출 군으로 나눔으로써 제한된 자원을 잘 분배할 수 있 고, 특정 작업장의 노출을 평가할 수 있다. 직무노출 매트릭스를 구축하여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최근 특수건강진단제도가 바뀌면서 작업환경측정 결 과 및 작업조건 등을 사전에 검토하여 특수검진 대 상자의 선정과 주기단축에 활용하게 된 시점에서 유 사노출군 선정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업 도장 작업자의 크실렌 노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직무, 밀폐특성에 따 라 유사노출군으로 구분하여 노출 변이 및 동질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