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일부 인쇄회로기판 납땜근로자들의 눈, 호흡기, 피부의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Ocular, Respiratory and Skin Symptoms Among Solderers Employed i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nits

납땜은 전자제품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된 소자를 접합하는 공정으로, 하나의 전자제품을 온전 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공정이다. 자 동화된 납땜기계가 발달하고 있지만 자동납땜된 기 판의 결점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고전적인 수 납땜이 이루어져야 된다. 일부 정밀회로조립에서 납 땜을 대신하여 접착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아직 보 편적으로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납땜근로자들이 직업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유해 물질로는 납과 함께 플럭스가 언급될 수 있다. 지금 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납땜근로자들에게서는 납에 의해서는 특별히 심각한 건강장해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하여, 플럭스가 가열되 면서 발생되는 흄은 이에 노출된 근로자들에게 비교 적 흔하게 자극성 및 알레르기성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납땜용 플럭스로서 가장 널리 쓰이는 송진은 피부감작물질임이 이미 잘 정립된 사 실이며, 직업성 천식을 일으키는 3대 물질의 하나로 꼽힌다(Rom, 1998; Sadhra 등, 1994). 납땜에 플럭스가 쓰이는 목적은 접합을 방해하는 모재표면의 산화 혹은 황화피막을 염화, 불화, 혹은 인산화하여 접합성을 높이고, 땜납이 가급적 저온에 서 모재표면을 따라 효과적으로 고르게 퍼져 흐르도 록(“flux”)하는 것으로서, 염소기, 불소기, 인산기 등을 포함하는 여러종류의 산이나 염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중 안전성과 취급의 용이성이 크면서 부 식성이 적은 송진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Clayton 등, 1991). 1969년 Adams에 의해 송진에 의한 직업성 접촉 피부염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1976년 Fawcett 등 에 의해 송진플럭스심(colophony flux cores)이 포 함된 실땜납(wire solder)을 취급하는 납땜근로자의 직업성 천식이 보고된 이후로 지금까지, 납땜근로자 들에게서 송진과 그 산화물에 의한 건강장해에 대한 많은 연구와 보고가 수행된 바 있으나, 국내의 경우 1989년 시계유리부품공장에서 접착제로 사용되는 송 진을 녹이는 과정에서 발생한 직업성 천식 1례에 대 한 보고가 이루어 졌을 뿐, 이와 관련된 공식적인 연 구나 증례보고가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납땜작업이 납에 의한 건강영향과 더불 어 송진 등 플럭스에 의한 피부 및 호흡기 계통의 건 강장해를 유발하는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 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납땜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눈, 호흡기, 피부 등의 증상호소율을 조사하여, 납땜종 사기간, 하루 납땜시간, 납땜종류, 국소환기상태 등 에 따른 관련성을 평가하고, 납땜의 건강위험에 대 한 납땜근로자의 인식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