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일부 지하철 사업장에서의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뇌심혈관위험요인(고혈압, 이상지질, 이상혈당)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지하철 근로자 40명을 대상으로 건강위험평가 및 체력측정 후, 운동, 금연, 절주 프로그램과 영양 및 스트레스 상담을 제공하였으며 12주 후 혈압 및 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맞춤형 건강증진 수행 후 대상자들의 운동여부는 프로그램 수행 전 운동실천은 42.5%에서 100%로 증가하였고, 운동강도에 있어서 매우 낮은 강도로 운동한다고 한 대상자가 57.5%에서 7.5%로 감소하였다. 또한 자신이 인지하는 신체활동의 강도는 모두 약한 강도라고 대답하였다. 흡연자가 72.5%에서 60%로 감소하였으며, 행동변화단계 상 금연실행단계로 12.5%의 대상자가 변화하였다. 일일 알코올 섭취량은 34.9g에서 24.2g 으로 감소하였다.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 후 혈액검사결과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축기혈압, 체질량 지수와 공복시 혈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심혈관질환 고 위험군에서는 수축기 혈압 140 ㎜Hg 이상의 고혈압군과, 중성지방 200 ㎎/㎗ 이상의 이상지질을 가진 군에서만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결론: 흡연중재프로그램, 음주절재, 식이상담, 운동처방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은 뇌심혈관 위험요인의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사업장의 다양한 맞춤형 건강증진을 통하여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order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 in areas which include hypertension, dyslipidemia, abnormal blood glucose and body mass index. Methods: In this paper, health risk appraisal relating to lifestyle was surveyed and physical fitness,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 profile and glucose were checked. Then, a 12 week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with 40 subway workers of Seoul was conducted.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cluded a smoking cessation program, drinking restriction, diet, exercise prescription and a stress management program. Results: The number of subjects engaging in regular exercise increased from 42.5% to 100%, and the number of smokers reduced from 72.5% to 60%, and 12.5% of contemplate stage was shift to action stage. The mean level of drinking per day,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4.9 g to 24.2. The body mass index,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asting blood glucos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wo factors for the cardiovascular high risk group, hypertension above 140 ㎜Hg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yslipidemia above 200 ㎎/㎗ in triglyceride. Conclusion: In this paper, it is demonstrated that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cluding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drinking restriction, diet, exercise prescription and stress management program, resulted in effective reduction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 Therefore associated workplac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s relating to specific individual risk factor,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