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경기지역에 있는 일부 이주노동자 센터를 중심으로 이주노동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을 평가하고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지역 9개 이주노동자 센터에 방문한 502명의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12개국 언어로 번역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항목은 사회 인구학적 및 작업관련 요인, 건강행태, 과거력, 직무스트레스, 근골격계 증상 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8개 하위항목이 포함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26)를 사용하였다. 근골격계 증상은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KOSHA Code H-30-2003)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근골격계 증상과 유의한 관련 요인을 단변량 분석을 통해 파악한 후, 전체 대상을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유무에 대해 다중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여 그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전체의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은 35.1%이었고, 과거질병력만이 근골격계 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성별, 나이, 국적, 체류자격, 과거 질병력으로 보정을 하여 다변량 분석을 한 결과, 물리환경(OR 1.62, 95% CI=1.03~2.54), 직무요구(OR 2.43, 95% CI=1.46~4.03), 직무불안정(OR 1.59, 95% CI=1.03-2.47), 직장문화(OR 2.30, 95% CI=1.27~4.19)가 근골격계 증상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경기지역 일부 이주노동자들의 근골격계 증상과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성을 평가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직장문화 영역에서 근골격계 증상과 높은 관련성을 보여, 효율적인 이주노동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서 이에 대한 중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of migrant workers.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Metho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02 migrant workers who visited NGO migrant worker centers located in Gyung-gi province.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in order to capture the following information: sociodemographics, health factors including past medical history,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job stress questionnaires were used according to KOSS-26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KOSHA Code H-30-2003. We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which included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urvey subjects was 35.1%. Other than job stress factors, past medical history was the only factor that had a statistical relationship to musculoskeletal symptoms (P<0.01). In the domains of job stress, physical environment (OR 1.62, 95% CI: 1.03~2.54), job demand (OR 2.43, 95% CI: 1.46~4.03), job insecurity (OR 1.59, 95% CI: 1.03~2.47), occupational climate (OR 2.30, 95% CI: 1.27~4.19) were most likely experience musculoskeletal symptoms. Conclusion: The job stress factor appeared to correlate more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with sociodemographics or other factors. Hence, in order to prevent migrant worker’s musculoskeletal symptoms, we believe that intervention in job stress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job insecurity, occupational climate)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