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반복 작업에 의해 발생한 팔꿉굴증후군 1례 보고. 방법: 오른손 엄지와 검지사이의 심한 근위축과 5번째 손가락의 갈퀴모양 변형 및 무감각을 주소로 내원한 근로자를 직업력 조사, 신체검사 및 영상검사, 신경전도 및 근전도검사를 시행하였고, 근로자의 진술과 사진 등을 토대로 하여 RULA를 이용한 동작분석을 통해서 진단 및 작업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근로자는 입사 이후 17년 동안 선박용접을 수행하였고, 이후 최근 6년 동안 자재박스 해체작업과 상차 및 하차작업등의 팔꿈치 관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업무였다. 신경전도 및 근전도 검사에서 오른쪽 팔꿈치 관절부위 자신경의 운동 및 감각신경 전도속도가 저하되어 있었고, 오른손 내재근과 자뼈쪽손목굽힘근의 전위가 감소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단순촬영에서는 특이소견이 없었으나 자기공명영상검사는 오른쪽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안쪽 관절강내 0.6 ㎝의 뼈조각이 있고, 자신경이 비후되어 팔꿉굴증후군에 합당한 소견이었다. 결론: 근로자의 증상은 작업장에서 팔꿈치관절의 굽힘과 폄의 반복으로 발생한 지연성 팔꿉굴증후군으로 판단되며, 향후 수술적 치료가 고려되고 있다.
Objective: To report one case of cubital tunnel syndrome due to repetitive work Method: The authors examined a worker who complained of severe muscle atrophy between the right thumb and index finger, claw deformity and numbness of the 5th finger. We evaluated him with physical examination, neurophysiologic studies (nerve conduction study, NCV; electromygraphy, EMG), plain X-ray and magnetic resonance image(MRI) at the right elbow. We also investigated his occupational history, and analyzed his work motions, using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ULA) of the work cycle at his previous work site. Result: The patient had been a ship welder for 17 years, followed by 6 years of dismantling boxes and loading/unloading materials. The latter job required inappropriate elbow posture such as repetitive flex-ion and extension. The NCV study revealed slow conduction velocity of the right ulnar motor and sensory nerve, decreased action potential of the right hand intrinsic muscles and flexor carpi ulnaris. The simple X-ray film showed normal finding, but MRI showed a finding compatible with cubital tunnel syn-drome combined with enlargement of the right ulnar nerve at right elbow, 0.6㎝ intraarticular loose body and medial aspect of the medial epicondyle of the right distal humerus. Conclusion: We confirmed the diagnosis of cubital tunnel syndrome that was related to his packing job which had demanded repetitive flexion and extension of elbow joint. At the time of writing, surgery was being considered as appropriate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