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대전지역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감시체계

Contact dermatitis surveillance system in Taejon city: Prevalence of contact dermatitis among the workers exposed to solvents and nonmetallic chemicals through an immediate health examination system in Taejon city

직업성 피부질환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것이 많고 일과성인 것도 흔하여 공식적으로 보고되는 것 은 실제 발병률에 비해 극히 적은 수이지만, 모든 직 업병 중에 15~20 %를 차지하는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미국의 경우는 10대 주요 직업병중 하나로 관리되고 있다(NIOSH, 1999). 피부는 작업장에서의 화학물질이나 기타 오염원의 주요 인체침입경로가 된 다. 대부분의 피부질환은 유기용제나 절삭유와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에서 이들 물질에 의한 독성작용으로 자극성 접촉피부염이 생기는 것으 로 알려져 있지만, 기타 농약취급자, 라텍스노출자 등 에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는 보고도 있다(HHS, 1997). 대개의 직업성 접촉 혹은 알레르 기성 피부염의 예후는 불량하여 만성 피부질환으로 이환되며 특히 라텍스 알레르기의 경우는 위급한 상 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최근 이러한 자극성, 알레르 기성 피부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는 피부질환이 잘 생기는 위험군으로 농업종사자, 간호사 및 제조업근로자들을 관리하고, 이러한 발병기전을 연구하며, 가능한 노출을 억제하 기위한 보호크림이나 보호구 등의 효능판정이 새로이 연구가 요구되는 분야가 되고 있다(NIOSH, 1999).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기용제와 절삭유 취급근로자 에 대한 피부질환 연구(박재범 등 1997; 천병철 등, 1996)에서 높은 유병률을 확인한 바 있고, 다양한 자료원을 통한 근로자들의 피부질환 특성이나 의료이 용에 관한 연구(안연순 등, 1999a; 안연순 등 1999b)를 시도한 바도 있다. 그러나 피부질환의 특 성상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고 가역적이며, 현행 의 특수건진상 의사들의 피부질환에 대한 지식과 관 심이 부족하여 진단이 어려워(은희철, 1996), 궁극 적인 질병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유병의 추이를 파악 하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러한 피부질환의 관 리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다른 직업성 질환과 마찬가 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의 수집, 분석, 배포 를 통해 궁극적으로 질병예방을 추구하는 직업성 질 환의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것이지만(Baker 등, 1989), 중요한 것은 지역단위의 산업보건사업에 대 한 결정은 여타의 공중보건문제와 마찬가지로 지역사 회내의 요구도의 특성, 보건문제의 결정인자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체계 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이동배 등, 1999; Baker, 1989). 직업병 감시체계는 질병감시체계와 노출감시체계로 구분할 수 있고(송동빈, 1997; 강대 희, 1996), 질병감시체계는 환자위주의 감시체계와 율위주의 감시체계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율위주의 감시체계는 역학적 사안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질병 이나 상해 혹은 환경노출자의 발생률을 구하여 추이 를 보는 것이다(염용태, 1996). 그러나 감시체계란 지속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며, 그 결과를 배포 하여 공유하므로서 궁극적으로 질병예방을 위한 개입 조치로 이어져야 하므로(Teutsch and Churchill, 1994; Halperin and Baker, 1992; Baker 등, 1989), 감시체계를 시도하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자료수집 및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예 방조치로 환류시키기 위한 근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선진국을 비롯하여 최근 들어 시도 중인 우리나라의 직업병 감시체계에서 질병위주의 감시체 계보고자로 의사들을 활용한 것(임종한 등, 1998; 이상준, 1998; Matte et al, 1989; Rustein 등, 1984)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산업보건관리제도 상 보건관리대행사업을 통하여 중소규모의 사업장에 일차보건의료의 철학에 근접하면서도 단순한 환자의 요구에 의한 의료서비스 뿐 아니라 건강증진을 포함 한 포괄적이고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보건관리대행기관 협의회, 1997), 이들 보건관리대행 간호사를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수집 뿐 아니라 궁극적인 예방조 치를 수행하는 이중적 역할을 할 수 있겠다. 그러므 로 본 연구에서는 산업보건관리제도상 중소사업장의 보건관리를 맞고 있는 보건관리대행 간호사를 파수 형 사건의 보고자로 활용하여 근로자들의 자각증상 에 따른 질병유병 중 접촉성 피부염을 파악하기 위한 지역 직업병감시체계의 처음시도로서 설문조사를 실 시하고 유증상자를 이송하는 임시적인 이송체계를 구축하여 이를 통해 유병률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