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대구시의 대기오염이 일별 사망에 미치는 영향(1993~1997)

Effect of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Daegu (1993~1197) 주제어

근래 과학의 비약적인 발전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시간의 개념이 바뀌고 인간의 생활은 편리하게 변화 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공업의 발달과 이에 따른 인구의 도시 집중화, 자원의 무절제한 개발 등의 결 과로 우리가 생활하는 환경의 오염이란 피할 수 없 는 문제도 초래하였다. 그 중 대기오염은 불특정 다 수인에게 피해를 주어 지역사회 수준에서 고려하여 야 할 대표적인 환경오염이다. 1970년대 이후 공업화와 인구의 도시 집중현상으 로 야기되었던 우리 나라의 대기오염은 1980년대 이 후 자동차 보급의 급증과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각 종 화학물질의 사용증가로 오염이 확대되었고 오염 의 형태도 오존(O3),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발생 등으로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또 국제 적으로도 중국 등 인접국가의 급격한 산업화 추세에 따라 국경간 오염물질의 이동이 증가하였으며 기후 변화, 오존층의 파괴 등 총체적인 환경위기의식이 고조되었다(환경부, 1997).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도 대기환경기준의 목표설정과 배출허용기준을 적용 하여 규제를 엄격히 하고, 각종 대기오염 저감정책 을 실시하여 대기질은 상당히 개선이 되었으나 자동 차의 급증으로 인한 이산화질소(NO2) 및 오존(O3) 의 오염도는 완만하게 증가를 계속하여 지속적인 대 책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기오염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다 양하며, 주로 사망률 증가와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 환의 증가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은 사망률을 증가시 키며(Logan, 1953; Hechter and Goldsmith, 1961; Mazumdar et al., 1982; Ostro, 1984; Derriennic et al., 1989; Katsouyanni et al., 1990; Schwartz and Marcus, 1990; Kinney and Ozkaynak, 1991; Pope Ⅲ et al., 1992; Schwartz and Dockery, 1992; Dockery et al., 1992; Schwartz, 1994b; Xu et al, 1994; Moolgavkar et al., 1995; Touloumi et al., 1994, 1996; Spix & Wichmann, 1996; Verhoeff, 1996; Hoek et al, 1997; Kelsall et al., 1997; Simpson et al., 1997; Zmirou et al., 1998; Bremner et al., 1999, Hong et al., 1999; 이종태 외, 1998, 1999; 권호장과 조수 헌, 1999; Lee & Schwartz, 1999; Lee et al, 1999). 그 외에 천식환자에서 천식증상발작의 빈도 를 증가시키며(Dockery et al., 1989; Schwartz et al., 1993; Buchdahl et al., 1996; Anderson et al., 1998), 하기도 감염의 발생률 증가(Samet, 1992; Thurston et al., 1994), 만 성심폐질환자에서 질병의 악화(Ciocco and Tompson, 1961; Sunyer et al., 1991; Ponka and Virtanen, 1996), 폐기능의 감소(Young, 1964; Ferris, 1979; Linn et al., 1987; Schwartz, 1989; Horstman et al., 1997; Gold et al., 1999), 천명과 흉부압박감, 의학적 주의를 요하는 기침 및 객담의 발생률의 증가(Schwartz, 1992; Chen, 1998; Zemp, 1999), 급성상기도감 염의 발생률 증가(Bates and Sizto, 1989; Pope Ⅲ, 1996), 정상활동을 방해할 수 있는 눈, 코, 인 후자극증상 등을 유발하며, 암의 발생도 증가 (Jacobson, 1984; Pope Ⅲ et al., 1995; 성주헌 외, 1997)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기 오염의 형태와 특성은 시대에 따라, 각 지역별로 평가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대기오 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란 쉬 운 일이 아니다. 대기오염과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 한 연구는 크게 독성학 연구와 역학적인 연구로 대 별된다. 역학적 연구는 일상환경에서 사망률과 같은 비가역적 영향,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을 평 가하는데 좋다. 그러나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어렵고 잠정적인 수 많은 교란변수들을 통제하여야 하며, 항상 여러 오염물질에 폭로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폭 로를 평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Committee of the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assembly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1996a). 역학적 연구 중 시계열자료분석은 대기오 염의 단기영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여 최근 수년동 안 인구집단에 근거한 일별 시계열분석이 주를 이루 게 되었다. 이 연구들에서는 일별 대기오염의 변화 에 따른 일별 사망률의 변화가 오염의 정도가 낮을 때에도 사망률과 관련이 있음을 일관되게 보여주었 다(Dockery et al., 1992; Touloumi et al., 1994; Saldiva et al., 1995; Spix and Wichmann, 1996; Hoek, 1997). 236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2 권 제 2 호 2000년 우리 나라에서 대기오염과 관련된 건강문제에 관 한 연구는 공업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1970년대 이 후부터 시작되었으며(신영수 외, 1972; 차철환 외, 1988; 조수헌, 1989; 권호장 외, 1994 ; 강연구 외, 1995; 임종한 외, 1998), 대기오염과 사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활기를 띠게 되었고(김윤신과 문정숙, 1997; 이종태 외, 1998, 1999; Hong et al, 1999; Lee & Schwartz 1999), 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의 여러 도시에서도 지역이나 시기, 대기오염의 성분과 농도가 다를지라도 대기오염이 사망과 관련 이 있는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오 염과 사망에 관한 자료는 주로 서울을 대상으로 하 였으며(이종태 외, 1999; Lee & Schwartz 1999), 그 외 울산, 인천에 관한 연구(이종태 외, 1998; Hong et al, 1999; Lee et al, 1999)는 있 으나 지형과 기후의 특성이 기타의 도시와 다른 대 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는 일부가 산으로 둘러 쌓인 분지이고, 지 형의 특성상 기온의 연교차가 심하고 계절의 변화가 급속한 편이며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대규모공단이 시내에 산재해 있으며, 기업체 의 대다수가 영세 하청기업으로 공해물질을 대량으 로 배출하여 지형적 요소와 더불어 효과적인 대기개 선을 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대구광역시, 1998). 대 구시는 1994년도에 전국 47개 도시 중에서 두 번째 로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였으며, 1997년도 대기질측 정에서 연평균 지름 10 ㎛미만의 미세먼지(PM10)와 SO2가 전국 7대 도시 중 최고치를 보였다. 특히 중 리동은 연평균 SO2가 0.043 ppm으로 대기환경기준 인 0.03 ppm 이하를 초과하였다(환경부, 1997).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에서 발생하는 현재 수준 의 대기오염이 인구집단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여 대기오염에 의한 사망의 예방을 위한 대기환경개선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