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단순반복 작업자의 작업대 및 의자의 형태와 누적외상성질환 증상과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Trauma Disorder and the Type of Workstations and Chairs in Workers with Repetitive Motion Tasks

오늘날의 산업현장은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기계화 로 근로자들의 신체적인 노동력 소모는 감소하였으 나 작업형태의 세분화로 인하여 작업자세가 고정되 며 각종 컴퓨터 작업이나 단순 조립작업 등 연속적 인 반복동작으로 인한 누적외상성질환(cumulative trauma disorder; CTD)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누적외상성질환에 대하여 미국의 국립산업안전보건 연구원(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1989) 에서는 적어도 1 주일 이상 또는 과거 1년간 적어도 한 달에 한번 이 상 지속되는 상지의 관절 부위(목, 어깨, 팔꿈치 및 손목)에서 하나 이상의 증상들(통증, 쑤시는 느낌, 뻣 뻣함, 뜨거운 느낌, 무감각 또는 찌릿찌릿한 느낌)이 존재하고 동일한 신체부위에 유사질병과 사고 병력이 없어야 하고 증상은 현재의 작업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산업재해 보상보헙법 시행규칙 제 39조 업무상재해 인정기준 (노동부, 1995)에 경견완증후군으로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질병으로 되어 있다. 누적외상성질환에 대한 미국 노동성의 통계(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stration; OSHA, 2000)에서 1998년도에 발생된 총 직업병 건수 중 64%로 누적외상성질환 비중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작업관련성 신체부담작업 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자가 1998년도 72명(5 %)에 서 1999년도에는 124명(8 %)으로 증가하였다. 2000년도 상반기 업무상질병자는 978명으로 전년동 기 907명에 비해 71명(7.8 %)이 증가하였고 이 중 에서 난청, 중금속중독 등 직업병은 38.6% 감소하 였다. 업무상 질병자가 증가한 것은 뇌. 심혈관질환 (41 %) 및 신체부담작업(105 %)이 증가했기 때문 이며 전체 업무상질병자중 신체부담작업자는 127명 (13 %)인 것으로 나타났다(노동부, 2000). 반복 작업에 의한 누적외상성질환의 발병 요인으 로는 주로 연령, 신체조건, 작업습관, 과거병력 등의 작업자 요인, 작업자세, 작업빈도, 작업에 드는 힘, 휴식시간 등의 작업요인, 작업대 조건, 작업에 사용 되는 공구, 기타 작업공간 등의 작업장 요인과 그리 고 진동 및 저온 등의 환경요인 등이 지적되고 있으 며(OSHA, 1996; 박희석 등, 1997) 인적 특성 및 심리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누적외상성 질환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차봉석 등, 1996; 주영수 등 1998). 국내에서는 몇몇 산업의학 전문가들에 의하여 누적외상성질환의 의학적인 진단 문제(송동빈 등, 1997), 자각증상 및 이학적 검사를 중심으로 한 전화교환원(박정일 등, 1989; 조경환 등, 1989; 이윤근 등, 1995; 최재욱 등, 1996), 포 장작업자(이원진 등, 1992), 전자렌지 조립작업자 (김양옥 등, 1995; 박종 등, 1995)등에 대한 조사연 구가 있고 누적외상성질환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자 세 연구(박동현 등, 1998; 이윤근 등, 1998), 위험 요인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인간공학적인 연구(박희 석 등, 1997; 권은혜와 백남원, 1998)등이 있다. 정부에서는 영상표시단말기(visual display terminals; 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노동부, 1997), 단순 반복작업 근로자 작업관리지침(노동부, 1998), 직업성요통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지침(한국 산업안전공단, 1998)을 제정하여 예방에 많은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주로 컴퓨터를 취급하는 작업자 에 한정되고 있으며 구조조정등 신경영 전략으로 인 한 기계의 자동화, 작업환경의 변화, 노동강도의 강 화속에서 실제로 많은 산업현장의 제조업에 대한 상 지의 작업관련성 누적외상성질환과 작업자세의 근본 적인 바탕이 되는 작업대와 의자에 대한 연구가 적 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 중 올바른 작 업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작업대와 작업의자에 대하 여 일부 전기, 전자부품 조립업체를 대상으로 작업 대와 의자의 형태와 크기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작업대와 의자 그리고 누적외상성질환 자각증상호소 와의 관계 및 대책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