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직업적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노출에 의해 집단적으로 발생한 독성간염

Toxic Hepatitis Induced by Occupational Dimethylacetamide Exposur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CAS No. 127-19-5)는 생선 비린내 나는 무색 액체로 극성 및 비극성물질에 잘 녹으며, 수지류에 대한 용해 성이 뛰어난 성질 때문에 합성섬유, 필름제조, 및 섬유 코팅 등에 사용되고 있다(Clayton 등, 1994). 분자식 은 C4H9NO로 분자량은 87.12 M.W이다. DMAC는 호흡기와 피부접촉에 의해서 체내로 흡수된다. 작업장 노출 기준으로 미국산업위생가협회(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2000)에서는 TLV-TWA 10 ppm, 36 ㎎/ ㎥(피부)으로 정하고있다. DMAC에 노출된 근로자들에게서 식후 불쾌감, 무 력증, 두통, 식욕저하, 변비, 현기증, 무기력 등의 증 상이 관찰되었고(Weiss 등, 1962), DMAC의 생체 에 미치는 독 작용은 여러 동물실험에서 간독성이 있 은 것으로 보고되었다(Kennedy, 1986a; Kennedy, 1986b; Clayton 등, 1994). 그리고, 인체에서도 DMAC에 의한 손상 중 가장 민감한 기관은 간으로 알려져 있다(Spies 등, 1995b). DMAC는 화학적 구조와 물리적 성질이 디메틸포 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와 유사하 고, 간에 대한 독성도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Kennedy, 1986b). DMF에 의한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 사례가 외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보고되었고(김수근 등, 1995; 허정호 등, 1999), 국내에서도 DMF에 대 한 사용실태와 간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해 다수의 연구 가 보고되었다(강성규 등, 1991; 김기웅 등, 1999; 한국산업안전공단, 1999). 하지만, 유사한 독성을 가 진 DMAC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노동부는 유해 물질 로만 규정하였을 뿐, 특수건강진단 및 작업환경측정 법적 대상 물질에는 제외되어있다. 국내에서는 김수 근(1994)에 의해 DMAC에 의한 독성간염 증례보고 1례와 한국산업안전공단(1999)에 의해 전국적인 노출 실태조사가 실시된 적이 있지만, DMAC의 독성 여 부 또는 실제로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격적인 연 구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DMAC에 노출된 후 집단적으로 발생한 독성 간염 7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