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경기지역 일부 이주노동자들의 우울 증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지역 9개 이주노동자 센터에 방문한 이주노동자 488명을 대상으로, 12개국 언어로 번역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항목은 사회인구학적 및 작업관련 요인, 건강행태, 과거력, 직무스트레스, 우울 증상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8개 하부항목이 포함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26을 사용하였다. 우울 증상은 조맹제 등이 번역한 CES-D 번역판을 사용하였다. 단변량 분석결과 유의한 관련 요인과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하여 우울 증상자 유무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관련 위험요인들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전체의 우울 증상율은 25.2%였지만, 비중국 국적 및 불법 체류자는 각각 32.1%, 32.8%에 달하는 결과를 보였다. 관련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OR 2.55, 95% CI=1.30-4.99)이 우울 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물리환경(OR 2.97, 95% CI=1.59-5.53), 직무요구(OR 2.33, 95% CI=1.26-4.32) 및 직장문화(OR 3.10, CI=1.49-6.48)가 우울 증상자 발생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결론: 연구대상의 우울 증상율은 국내 일반인구집단과는 비슷한 수준이나 국내 근로자 집단에 비해서는 높았으며, 특히 내부집단별로 비 중국국적 및 불법 체류자의 우울 증상율이 높았다. 하지만, 국적구분과 체류자격의 사회인구학적요인보다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이주노동자들의 우울증상과 보다 직접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주노동자들의 우울 증상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직무스트레스 중재방안이 조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migrant workers.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job stress. Metheo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88 migrant workers who visited NGO migrant worker centers located in Kyung-gi province.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each responder’s sociodemographics,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past medical history, job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The job stress questionnaire was used according to KOSS-26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CES-D,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We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included job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symptoms in survey subjects was 25.2%, but the prevalence of non-Chinese nationalities and illegal workers were 32.1% and 32.8%, respectively.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job stress (OR 2.55, 95% CI=1.30-4.99) had a statistical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symptoms. Among job stress domains, physical environment (OR 2.97, 95% CI=1.59-5.53), job demand (OR 2.33, 95% CI=1.26-4.32) and occupational climate(OR 3.10, CI=1.49-6.48) were most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symptom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study subjects was similar to the prevalence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but higher than that among the Korean workers. In particular, the prevalence among non-Chinese and illegal workers was higher. However, the job stress factor appeared to have a more direct correl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tha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nationality or residential status. Hence, in order to prevent depressive symptoms of the migrant workers, we believe that intervention on job stress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