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망간에 의한 건강영향과 최근의 연구동향

Health Effects of Manganese and Some Recent Issues in Manganese Neurotoxicity Research

서론: 본 종설에서는 최근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망간의 건강영향에 대하여 개괄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연구주제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망간의 건강영향과 관련된 논문들을 일차적으로 Medline 검색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확인된 논문들의 참고문헌을 더 검토하여 리뷰하였으며 2008년 12월까지 발표된 논문들로 제한하였다. 결과 및 고찰: 망간은 필수원소이지만 과다 노출이 되면 망간중독을 일으킨다. 망간은 소화기와 호흡기를 통하여 흡수된다. 소화기를 통하여 흡수되는 망간은 담즙을 통하여 배설되는 항상성이 잘 유지되므로 망간중독이 드물다. 망간은 뇌에서 주로 창백핵에 침착되며, 다른 장기에 비하여 서서히 배출된다. 혈중 망간농도는 집단으로는 적절한 생체지표이지만 개인별 생체지표로는 적절하지 않다. 뇌 자기공명영상(MRI) T1강조영상에서의 고신호강도는 혈중 망간농도와 상관관계를 보이며 일부 신경행동 검사결과와 유의한 연관관계를 보여, 망간노출지표로 뿐만 아니라 준임상적(subclinical) 건강영향의 예측지표로도 활용할 수 있다. 망간축적에 의한 MRI상 고신호강도 소견은 망간노출자 뿐만 아니라 간경화 등 간문맥-체순환 단락이 있는 환자들과 장기간 완전비경구영양법을 받는 환자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망간중독은 추체외로 증상을 중심으로 한 신경학적 장해로 이차성 파킨슨증후군이며, 고농도 노출시는 정신병적 증상이 먼저 나타나기도 한다. 전형적인 신경학적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인 낮은 망간농도에서도 신경행동학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망간 중독은 파킨슨병과 직업력, 임상소견 및 신경영상소견에서 감별이 가능하다. 망간에 의한 건강영향에서의 최근의 연구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망간중독과 파킨슨병과의 상호관련성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아직 일관성 있는 결과가 없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환경성 망간노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직업성 망간노출증상과의 차이가 관심을 받고 있다. 셋째, 간경화가 망간중독의 모델로서 그 유용성이 검토되고 있다. 넷째, 망간중독연구에서 기능성 신경영상이 주목을 받고 있다. 결론: 망간의 건강영향에 대한 개괄 및 최근의 연구 동향에 대한 평가는 망간독성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할 뿐만 아니라, 향후 일반적인 독성학 연구에서 풀어야 할 과제들과 연구방향을 전망하는데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