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작업형태는 현대의 산업공정이 다양화됨에 따 라 점점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전체 노동력의 약 1 5 ~ 2 0 %가 야간근무 및 교대근무를 하 고 있으며(Tenkane 등, 1997), 미국의 경우는 약 20%(Monk 등, 2000),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약 2 5 %로 추산된 바 있다(박정선 등, 1994). 교대작업은 수면부족이나 졸림등으로 인해 재해의 발생율을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 관상동맥성 심장질 환과 관련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S t e e n l a n d와 Fine, 1996).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위험도는 교대 근무력이 길수록 더 증가하였으며(Knutsson 등, 1986), 최근에는 상대위험도의 크기가 1 . 5정도로 비 교적 낮은 값을 보였음에 반하여, 교대근무의 빈도 가 20% 이상으로 매우 높아 전체 관상동맥성 질환 에 미치는 기여위험도(population attributable r i s k )는 7 %나 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A k e r s t e d t 와 Knuttson, 1997). 교대근무가 어떠한 기전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는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어 왔는데 그중 하나의 설명모형은 첫째, 생체의 일주기 리듬의 교란, 둘째, 생활습관의 변화(흡연, 음주 등), 셋째, 사회생활의 교란(스트레스의 증가) 라는 세 가지 종류의 경로를 통해서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위험을 높인다고 하는 설명이다(WHO, 1998). 그러나 이 중 생활습관의 변화에 관한 연구에 비하여 생체의 일주기 리듬의 교란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최 근의 연구 보고들은 생체의 일주기 리듬이 교란되는 결과로 인하여 인체의 대사성 생리기능에 영향을 미 치게 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관상동맥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가설을 제기하고 있다( A s s m a n n 등, 1999; boggild과 Knutsson, 1999). 본 연구는 교대근무가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위험을 높이는데 있어서의 생물학적 기전과 관련하여, 교대 근무기간의 증가와 심혈관계 질환의 대사성 위험요 인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Objectives: :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work dura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shiftworke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of 226 nurses, from a hospital, and 130 male workers, from a diaper and feminine hygienic material manufacturing firm. The mean ages of the male workers and nurses were 29 and 28.5 years, respectively. The fasting blood sugar, serum cholesterol, blood pressure, height and w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only in nurses), and number of step for a shift as indices of physical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Karasek’s job contents questionnaire, the job stress was assessed.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years worked, duration of shiftwork, and past medical and behavioral histories, including smoking, were obtained by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s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shiftwork dura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using simple and multivariate models, adjusted for age, smoking, job strain and physical activity. The following criteria were defined: hypertension as a SBP≥160 or a DBP≥9 0 mmHg at least once, hypercholesterolemia, as a serum total cholesterol ≥240 mg/㎗, obesity as BMI (Body Mass Index) ≥25 kg/m2 and central obesity as a WHR (Waist to Hip Ratio) ≥0.85;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ccording to years of shiftwork, were performed using simple and adjusted models. R e s u l t s: The cholesterol and fasting blood sugar showed increasing trends,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hiftwork duration of the male workers, although, the increases in the blood pressure and BM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urses, only the WH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elation to the shiftwork duration.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hypercholesterolemia and obesity showed significant increasing risk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of shiftwork (OR=3.32 95%CI 1.27-8.72 and OR=3.21 95%CI 1.24-8.32 respectively) in the male workers, but hypertension showed no significance. In the nurses, only an increased central obesity was significant as a risk factor (OR=1.30 95%CI 1.05-1.62). Conclusion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of the associations between shiftwork and metabolic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lthough healthy shiftworker effects might exist in our cross sectional study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