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예측요인

Predictors of Return to Work in Occupational Injured Workers

장해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대응은 모든 장애인 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특히 산업 재해로 인해 장해를 입게 된 장애인에 대한 대책은 근로자 건강 보호 뿐 아니라 국가 경제적 차원에서 노동인 력과 비용의 손실과 관련된 사회문제의 요인이므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산업재해로 인한 신체기능의 손실은 근로자가 재 해 발생 이전의 가정, 직장, 사회에서 수행하던 역할 이 제한되고 사회관계의 손실을 초래하여 재해자의 사회복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특히 직장 복귀를 하지 못한 산업재해 근로자는 경제적인 어려 움과 사회관계의 단절로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현상 마저 보이고 있으며, 이들이 갖게 되는 부정적인 심 리반응은 큰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산업재 해자중 약 8 7 %가 남자이고, 30대 이상이 8 1 %로 가 장인 경우가 대부분이며(노동부, 2001), 부양해야 할 가족이 있는 경우도 8 1 . 6 % (한국장애인고용촉진 공단, 1998)로서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는 산 업인력의 노동력 상실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 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관련요인에 관한 연 구를 크게 네 가지 분야로 나누어 정리해 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는 산업재해 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연령이 적을수록 그리고 남성이 직장복귀 율이 높았으며(Cheadle et al, 1994), 연령이 많을 수록 작업복귀기간이 길었으며, 특히 요통환자의 경 우 연령이 낮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작업복귀 기간이 짧음을 보고하였다(Infante-Rivard & Lortie, 1996). 부양가족이 없는 경우가 작업복귀기 간이 짧았다(Volinn et al, 1991). 둘째, 사업장과 관련된 요인으로 육체적 작업인 경우 작업복귀 기간 이 길었으며 특히 요통환자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였 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경우 직장복귀기간이 길었으 며(Hogg-Johnson et al, 1994), 무역업에 종사하 는 경우가 가장 짧았다. 또한 상시고용인수가 5 0인 미만인 사업장이 5 0인 이상인 경우에 비해 작업복귀 기간이 길었다 (Lisa et al, 2000). 셋째, 장해와 관련된 요인으로 상해부위 수가 많은 경우, 상지장 애 환자 중 신경학적 진단을 받은 환자의 직장복귀 율이 낮았으며(Cheadle et al, 1994), 수근관 증후 군, 목과 허리 염좌, 골절 순으로 직장복귀기간이 길 었다(Melhorn et al, 1999) 마지막으로 장해결과 와 관련된 요인으로 요양기간이 긴 경우에 작업복귀 가 늦었다(Hess et al, 2000). Lisa 등( 2 0 0 0 )은 고 착된 자세나 진동보다는 물건을 옮기는 작업에서 발 생한 요통의 경우 근로손실일수를 증가시키고 젊은 나이, 재해 전에 장기간 고용 및 장해정도가 약할 경 우를 근로손실일수를 단축하는 예측 요인이라고 보 고하였다. 또한 Hogg-Johnson 등( 1 9 9 4 )의 연구에 서는 남자에 비하여 여자가 직장복귀 전까지의 작업 손실기간이 2배정도 길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 과들은 산업재해예방 및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되었다. 우리 나라의 경우 관련된 조사연구로는 노동부에 서 매년 발행하는 산업재해 분석자료와 각종 질환 및 사고 등 후천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삶의 중도에 장애를 입은 중도장애인의 직장복귀지원에 관한 연 구(구본권과 김승아, 1993), 산재장애인의 생활실태 와 재활정책의 과제(박수경, 1996), 직장복귀의사와 관련된 요인(고덕기 등, 1998), 산업재해 장애인의 취업실태조사(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1 9 9 8 )등이 있으나 직장복귀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 는데 상당한 제한점들이 있었다. 특히,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1 9 8 8 )에서 발표한 산업재해 장애인 취 업실태조사는 산재장애인의 산업재해, 취업, 직업훈 련 등에 관련된 사항 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정 리한 것으로 응답자의 직장복귀율이 2 6 . 6 %였으며, 취업업종은 제조업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 연구 에서는 산업재해 장해보상금 종결자 중 주소가 파악 된 사람만을 최종대상으로 우편 조사법을 실시하여 상당히 낮은 응답율( 1 2 . 3 % )과 전체 응답자의 4 5 . 5 %가 장해 1등급으로서 대표성에 문제가 있었 다. 또한 앞선 연구들이 직장복귀실태와 취업욕구조 사에 국한된 연구로 산업재해 후 근본적인 직장복귀 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하기에 부족하였다. 현재 산업재해근로자의 관리는 요양, 휴업보상과 잔존장해에 대한 보상만으로 이루어져왔 으므로 치료종결 이후 직장복귀 등을 통한 사회로의 복귀에 무관심하였다(근로복지공단, 2001). 본 연구는 5인이상 사업장 산업재해 근로자들을 120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5 권 제 2 호 2003년 121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업장 특성, 장해관 련 특성 및 장해결과 특성 등 산업재해 근로자들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제 변 수들을 모두 고려하여 직장복귀예측요인을 알아봄으 로써 보다 효율적인 재활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자료 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