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반복성이 높고 속도가 빠른 작업이 특성인 자동차 부품 제조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방법을 통해 전완부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위험요인을 정량화하고 구체적 노출기준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세 곳의 자동차 부품 제조 공장의 전체 노동자 중 약 10 %를 표본추출하였고, 최종적으로 99명의 남성 노동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3년 5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실시하였다. 노동자에게 작업 중완관절과 주관절에 전자각도기, 천지굴근과 요측수근신근에 표면근전도기, 흉부에 심박수 측정기를 장착시켜서 작업 중 관절의 움직임, 국소근육의 긴장도, 심박동수 및 에너지 소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다중로짓회귀분석을 이용한 분석에서 연령, 체질량 지수, 직무스트레스를 보정한 후 완관절 굴곡 최대각, 천지굴근 비교활동도, 요측수근신근 비교활동도는 전완부근골격계 증상 유병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개인적 특성인 연령과 체질량 지수를 보정한 후, 전완부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비차비는 완관절 굴곡 최대 각이 7 6°이상일 경우 5.0(95% CI: 1.1-22.7), 천지굴근의 비교활동도가 2.8% 이상일 경우 14.0(95% CI: 1.5-128.8), 요측수근신근의 비교활동도가 3.8% 이상일 경우 7.3(95% CI: 1.1-49.4) 이었다. 결론: 전완부의 근골격계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완관절 굴곡각을 줄이고, 천지굴근 및 요측수근신근의 사용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 이하로 낮추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As automobile part manufacturing is characterized by high speed and high repetition, observation methods which are usually utilized for static posture are inappropriate to evaluate musculoskeleatal risk factors. This study quantified the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n the forearm and suggested exposure limits by estimating the risk factors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and electrogoniometer. Methods: Ten percent of the total workers at 3 automobile part manufacturing factories were randomly selected, and 99 male workers were recruited as study subjects.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May 2003 to September 2004. The workers were equipped with electrogoniometers on the wrist and the elbow, surface EMGs on the skin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DS) and extensor carpi radialis (ECR) muscles, and the heart beat recorder during work as indicators of joint movement, local muscle tension and physical work load, respectively.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age, body mass index and job stress, wrist flexion maximum angle, FDS relative activity (RA) and ECR R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orearm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odds ratios of the forearm were 5.0(95% CI: 1.1-22.7), 14.0(95% CI: 1.5-128.8) and 7.3(95%CI: 1.1-49.4) for wrist flexion maximum angle more than 76°, FDS RA more than 2.8%, and ECR RAmore than 3.5%, respectively. Conclusions: Joint angle and focal muscle activity were associated with forearm musculoskeletal symptoms. To reduce forearm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automobile part manufacturers, the wrist flexion angle, and FDS and ECR activity need to be reduced below the guidelines recommend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