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특수건강진단기관 청력검사기의 음향보정

Acoustic Calibration of Clinical Audiometers Used for Special Periodic Health Examination

목적: 특수건강진단 순음청력검사의 정확도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청력검사기의 출력 음압을 측정하여 기기의 출력 신호의 기준 음압과의 차이를 비교한 기기의 정확성과 주기적인 음향보정 점검 여부에 따른 적정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특수건강 진단기관에 대한 청력정도관리 방문평가를 통해 전국의 116개 기관의 211개 청력검사기(audiometer)의 표준 출력 음압을 측정한 후, 청력검사기의 음향보정의 정확성을 ANSI S3.6-1996 (ANSI, 1996)의 기준값(reference threshold level)과의 차이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출력 음압의 허용편차 범위외 값을 갖는 청력검사기는 좌측 4000 Hz의 1 5개(7.1%), 많게는 우측 250 Hz의 38개(19.3%)이었다. 적어도 1개 주파수 이상에서 허용편차 범위를 벗어난 청력검사기는 좌측 56개(26.5%), 우측 54개(25.6%)이었다. 10 dB 이상 차이가 있어 정밀보정 및 교정을 요하는 기기는 좌·우측 각각 16개씩(7.6%)이었다. 좌ㆍ우 헤드폰 양측간의 출력 음압 차이가 5 dB 이상의 차이값을 보이는 청력검사기는 125 Hz에서 7개(4.3%), 250 Hz에서 8개(4.1%), 500 Hz에서 5개(2.5%), 1000 Hz에서 3개(1.4%), 2000 Hz에서 6개(2.8%), 4000 Hz에서 4개(1.9%), 8000 H z에서 6개(2.9%)이었다. 음향보정 점검 여부에 따른 출력 음압의 허용편차는 년 1회 이상 점검을 수행한 기기가 그렇지 않은 기기보다 모든 주파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음향보정값과의 차이가 더 작았으며 허용범위외 값을 갖는 청력검사기도 더 적었다. 결론: 많은 특수건강진단기관의 순음 청력검사기가 출력 음압의 적정성에 문제가 있어 청력검사의 평가 결과 청력 역치 측정이 적절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청력검사기에 대한 일일 기능보정 또는 생물학적 보정과 주기적인 음향보정 점검은 필수적이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