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급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직종은 매 우 다양하며, 직무에 따라서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 출되고 있다. 우리나라 병원급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1 1 9 , 7 2 6명으로 사무, 기계, 환경, 일용직, 실습학생 등 타 직종을 포함한다면 훨씬 많을 것으 로 추정한다(보건복지부, 2001; 임현술, 2002). 이 들은 생물학적 요인, 물리적 요인, 화학적 요인, 인 간공학적 요인, 정신과적 요인 등에 노출되어 업무 상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88; 백도명, 1992; Barbanel, 1999). 우리나라 병원급 의료기관 종사자들에서 산업보건 활동은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업무상질병의 발생의 가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업에 비하 여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는 산업안전 보건활동이 제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병원급 의료 기관 등 3차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산업안 전 보건활동이 미약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산업안전 보건정책은 환자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전통적으로 다른 근무환경보다 더 안전 한 장소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G u i d o t t i , 1987; 이성은, 1992). 2 0 0 2년 노동부가 4 9 2개의 병원급 의료기관을 대 상으로 실시한 산업안전 보건실태에 관한 조사에서 4 7 3개소( 9 6 . 1 % )가 물질안전보건자료 미비치, 특수 건강진단 미실시, 안전보건교육의 미실시, 작업환경 측정 미실시 등으로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하고 있 었다(노동부, 2002). 이는 우리나라 병원급 의료기 관에서 산업안전 보건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고 있으며 병원급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근로 환경은 매우 위험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외과 전공의가 수술 중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 어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한 사례와 병원 종사자가 결핵, 바이러스성 간염, 급성기관지염, 접촉 피부염 등에 걸린 사례도 있었다(정호근, 2000; 한국산업안 전공단, 2002).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의료기관 종사 자에서 발생하는 업무상질병은 감염성 질환, 뇌심혈 관 질환, 근육골격계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으며 장기간 항암제를 취급한 간호사에서 만성골수 성백혈병이 발생한 사례와 같이 화학적 인자에 의한 업무상질병도 승인된 바 있다(임현술과 안연순, 2 0 0 3 ) . 병원급 의료기관 종사자들에서 산업안전 보건에 대한 요구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어 앞으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쟁점화 될 가능성이 높다(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2002).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산업안전 보건활동 실태를 파악한 연구는 드물었다. 병원에 적절한 산업안전보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산업안전 보건활동의 실태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 연구를 수행하 였다.
Objectives: As health care workers suffer from various hazards in hospital, 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ogram is very important to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ograms of several hospitals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941 hospitals in Korea. All questionnaires were posted to the department of general affairs at each hospital and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108 hospitals (11.5%). Eight responses were excluded because of insufficient data and the remaining 1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using the SPSS 10.0 statistical package and the demand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ogram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by RIDIT analysis. Results: The study subjects were 53 general hospitals and 47 hospitals. 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mmittee, infection control committee, safety manager, health manager, activities for vaccination, reports for needle stick injury and records related to occupational injury were more likely to be present in general hospitals than hospitals (p<0.05). Demand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were higher in general hospitals than hospitals. Especially, demands for measurement of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of ventilatory system, management of chemical materials and supply of protective equip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eneral hospitals than hospitals (p<0.05). C o n c l u s i o n s: We concluded from the findings of our study tha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ograms are not yet sufficient in Korean hospitals. So, we expect that special management, policies and laws for health care workers will be promul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