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화번호안내원에서 목과 어깨 근육에 유지-이완 기법을 이용한 신장방법에 대한 교육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동기부여를 통하여 목과 어깨의 자각증상의 변화와 압통역치의 변화, 그리고 목의 유연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대전의 일개 사업장에서 전화번호안내원으로 1년 이상 근무자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운동군 20명 대조군 21명을 대상으로 운동군에 대하여만 운동방법을 교육한 후 2007년 11월 8일부터 2008년 1월 7일까지 8주 동안 1주에 2회 운동 시행을 독려하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였다. 결과: 운동군의 운동시행 전과 후의 VAS를 비교하면, 목의 경우 운동전(3.35)보다 운동후(1.6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어깨의 경우도 운동전(4.55)보다 운동후(2.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압통역치의 경우 모두 증가하여 오른쪽과 왼쪽의 후두하근이 각각 3.14에서 4.33으로, 3.18에서 4.18로(p<0.001), 그리고 상부 승모근은 오른쪽과 왼쪽이 각각 3.56에서 4.59로, 3.60에서 5.17로(p<0.001), 견갑거근이 3.67에서 4.90으로(p<0.01), 3.88에서 5.43으(p<0.001)로, 그리고 사각근이 3.41에서 4.41로, 3.00에서 3.85로(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타나냈다. 경부의 유연성은 굴곡신전과 측방굴곡에서 증가되었으나 운동군과 대조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유지-이완 기법을 사용한 근육의 신장 방법의 교육과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한 운동의 독려가 목과 어깨의 압통역치 증가와 자각증상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couraging exercise to treat work-related neck-shoulder pain by mobile phone messages after training individuals to use the holdrelax technique. Methods: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an exercise (n=20) and a control (n=21) groups. The exercise group was taught stretching exercise methods known as the hold-relax technique for the upper trapezius, levator scapula, scalenus, and suboccipitals. They then received mobile phone messages encouraging them to do the exercises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The visual analog scale (VAS) of neck and shoulder pain, the pressure pain threshold (PPT) for the four muscles, and the cervical ROM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the study. Results: The V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ercise group from 3.35 to 1.65 (p<0.001) for the neck, and from 4.55 to 2.05 for the shoulder (p<0.001). In addition, the PPT of the four muscles increased (p<0.001) in the exercise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VAS and the PPT of the control group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RO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exercise and control groups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Teaching patients to use the hold-relax technique and encouraging exercise using mobile phone messages can reduce work-related neck-shoulder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