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Trichloroethylene의 직업적 노출에 의한 독성간염 및 박탈성 피부염 1례

Exfoliative Dermatitis and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Exposure to Trichloroethylene

T r i c h l o r o e t h y l e n e 은 염소화탄화수소( C h l o r i n a t e d h y d r o c a r b o n )의 일종으로 금속의 탈지 용제, 페인 트나 신나 등 다양한 용도의 용제, 식품가공업의 추 출제 및 화학생산물의 중간산물로 사용되는 물질로 드라이클리닝, 금속 탈지 및 세척작업 등에 널리 사 용되는 물질이다(Wexler, 1998). T r i c h l o r o e t h y l e n e의 노출 경로는 호흡기가 주된 경로이며 피부 흡수는 일반적인 작업조건에서는 무 시할 정도이다. 가장 두드러진 독성은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이며 심혈관계는 부정맥, 고혈압, 심비대 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 e x l e r , 111 T r i c h l o ro e t hy l e n e의 직업적 노출에 의한 독성간염 및 박탈성 피부염 1례 전남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피부과1 ), 내과2 ) 채홍재·이성관·이강진·김종율1 )·이승철1 )·신동현2 )·문재동 ─ Abstract ─ Exfoliative Dermatitis and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Exposure to Tr i c h l o ro e t h y l e n e Hong Jae Chae, Seong Kwan Lee, Kang Jin Lee, Jong Youl Kim1 ) , Seung-Chul Lee1 ), Dong Hyeon Shin2 ), Jai-Dong Mo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Department of Dermatology1 ) ,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2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 28-year-old male began working as a degreaser. The solvent used in the degreasing operation was trichloroethylene. Over the next month the man experienced fever, chills, and an erythematous skin rash and itching. At that time he had a marked elevation in his liver enzyme, with cholestasis. Over the next few days the rash persisted then peeled. There was an elevation of Ig E, and a positive patch test reaction to trichloroethylene. His dermatitis and hepatitis were considered to be mediated by a hypersensitivity mechanism. Key Words: Trichloroethylene, Hepatitis, Exfoliative dermatitis.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5 권 제 1 호 ( 2 0 0 3년 3월)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15(1):111-117 교신저자: 문 재 동 (Tel: 062-220-5308) E-mail: ajdmoon@chollian.net 1998). 고농도에 노출시 혼수, 폐부종, 부정맥, 간 과 신장의 부전 등으로 사망할 수 있으며(Ford 등, 1995) 반복적으로 피부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피부가 트고, 홍반 등의 피부 자극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T r i c h l o r o e t h y l e n e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과 간염 은 1 9 7 4년 Bauer 등이 처음 보고하였다. 발병기전 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른 나라의 보고 에 의하면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하 였다(Nomiyama, 1979; Phoon, 1984). 저자들은 t r i c h l o r o e t h y l e n e에 노출된 근로자에서 발생한 박 탈성 피부염을 동반한 독성간염 증례를 관찰하였고 피부첩포시험을 시행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기에 문 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