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2, 5-헥산디온에 의한 피부착색 3례

Three Cases of Skin Pigmentation Caused by 2, 5-Hexanedione

2,5-헥산디온(2,5-hexanedione; Acetonylace- tone; Alpha,Beta-Diacetylethane; 1,2- Diacetylethane; 2,5-Diketohexane)은 케톤류의 지방족 유기용제로서 상온에서 달콤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이며 휘발성이 낮다(Clayton과 Clayton, 1994). 흡입시 매우 독성이 강하며, 경구 섭취나 경피 흡수로도 유해할 수 있다. 증기나 미스 트는 눈, 피부, 점막, 그리고 상기도에 자극을 일으 키고, 고농도는 마취상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NTP, 1990). 2,5-헥산디온이 문제가 되어왔던 것은 산업장에서 널리 쓰이는 노말헥산(n-hexane)이나 메틸부틸케톤 (Methyl butyl ketone, 이하 MBK)의 대사산물 로서 말초신경손상을 일으키는 신경독성물질이기 때 문이다. 2,5-헥산디온의 독성은 동물연구를 통해서 는 비교적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oegner 등, 1992; Carney 등, 2002; Hirai 등, 1999), 대사 산물로서가 아닌 2,5-헥산디온 자체에 의한 인체영 향은 오렌지-갈색으로 피부 착색이 일어나는 것 외 에는 보고된 바가 없다(Clayton 과 Clayton, 1994). 저자들은 영상음향장비를 제조하는 한 사업장에서 2,5-헥산디온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닦아내는 작업에 종사하던 근로자 3인에서 손에 발생한 피부변색을 감시체계를 통해 발견하였다. 이에 의학적 진찰 및 작업환경조사를 실시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