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복합유기용제 장기 노출자들의 골수 충실도 평가를 위한 자기공명영상의 계량적 활용

Quantitative Assessment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the Noninvasive Evaluation of Bone Marrow Cellularity in Workers with Long-term Exposure to Solvents

유기용제 만성노출에 따른 골수장애는 벤젠에 의 한 재생불량성 빈혈과 백혈병 발생을 시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Smith, 1996). 벤젠 사용이 제한된 이 후 벤젠에 의한 혈액장해의 발생은 크게 줄어들었 다. 그러나 유기용제 사용량과 노출 인구가 증가하 고 새로운 유기용제의 도입이 늘어나면서 다른 유기 용제에 의한 골수장해도 보고되고 있다. 우리 나라 에서는 전자회사에서 2-bromopropane 사용으로 인한 생식기장해를 동반한 재생불량성 빈혈(Kim et al., 1996), 석유화학공장에서 벤젠에 의한 재생불 량성 빈혈(박영만 등, 1999)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최근 수년간 조선소에서 장기간 작업한 도장공에서 발생한 저세포성 골수장해를 경험한 바 있다(Kim et al., 1999). 이 질환은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아세테이트(ethyleneglycol monomethyl acetate, EGMME) 등의 혈액독성 유기용제를 포 함한 복합 유기용제 노출에 의한 것으로, 혈액학적 특성은 말초혈액소견상 호중구감소증이 주된 형태이 었다. 그러나 재생불량성 빈혈에서 보이는 범혈구감 소증이 현저하지 않아 말초혈액검사 소견이 골수소 견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않았다(한국산업안전공단, 1996). 또한 말초혈액검사에서 경도의 빈혈이 있는 동일 회사 근로자에서 실시한 골수검사에서도 저세 포성 골수 소견이 관찰되었는데 이들은 말초혈액검 사상 백혈구 및 혈소판은 모두 정상 범위였다. 따라 서 유기용제에 장기간 노출된 도장공 중 말초혈액 소견이 정상이더라도 골수장해가 있을 가능성이 조 심스럽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소견이 유기용 제에 의한 골수장해에 의한 것인지 혹은 선택편견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를 위해서는 정상인에서 골수 충실 도에 대한 기본 자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나 골수검사 의 침습적 특성상 정상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 적일 수밖에 없다(Hartsock et al., 1965). 말초혈액검사는 검사방법이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 지만 골수 이상 소견이 있다 하더라도 그 정도를 조 기에 반영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할 때 골수 충실도 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자기공명영상의 발전과 더불어 골수에 대한 비침습 적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다(Steiner et al., 1990). 자기공명영상에서는 골수의 지방세포와 조혈세포의 분포 차이에 따른 신호강도 차이를 이용하여 비침습 적으로 골수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양적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골수질환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의 이용은 주로 재생불량성 빈혈, 골수침범질환 등 환 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정상인 및 말초혈액검사 상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는 직업성 골수독성물질 노 출자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행해진 바가 없다. 직 업병 분야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골수 충실 도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경우, 이전에는 침습 적인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연구가 불가능하였던 정 상인 및 말초혈액검사상 골수검사의 적응이 되지 않 는 유기용제 노출자에 대한 골수 충실도 평가가 조 기에 가능하게 되어 골수장해의 2차 예방에 크게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유기용제에 장기간 노출된 조선업체 도 장공 및 대조군을 대상으로 골수생검 소견과 자기공 명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평가하고 골수 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자기공명영상 지 표를 개발하며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정상인의 골수 충실도 추정을 위한 골수 신호강도지표의 성별, 연 령별 참고치를 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