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망간에 노출시킨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흰쥐에서 용량에 따라 망간 투여 후 회복시의 뇌자기공명영상과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고,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고신호강도가 사라진 후에도 뇌조직의 손상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흰쥐를 15를 5마리씩 대조군, 저용량군과 대조군의 세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군에 생리식염수, 망간 10 ㎎/㎏, 40 ㎎/㎏을 1주에 1회 4주간 투여하였다. 12주 동안의 회복기간을 거친 후 뇌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고 희생시켜 부검을 통해 혈액과 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의 망간 농도를 분석하였고, 뇌 반구는 기저핵이 포함된 조직절편을 염색하여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뇌 자기공명영상에서는 기존의 기저핵 고신호강도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뇌 기저핵에서 교세포 수에 대한 신경세포 수의 비가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고신호강도가 사라지고 난 후에도 뇌의 병리조직학적 이상소견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wley rats, with particular focus on changes to anatomical pathology when brain MRI was recovered after manganese administration. Methods: There were 15 rats divided into 3 groups of 5 based on dose of manganese: control group, low dose group (10 ㎎/㎏), and high dose group (40 ㎎/㎏). Each dosing group received an injection of normal saline and manganese via the tail vein once a week for 4 weeks. And then, the rats were observed for 12 weeks after stopping manganese administration. Next, each rat underwent a brain MRI and then each was sacrificed. After the rats were killed, the concentrations of blood manganese were measured, and pathologic examinations of the brain were performed. Results: The signal intensity of basal ganglia on T1-weighted imaging of brain MRI did not differ between dosing groups. However, the ratio of neuron/glial cell in the basal ganglia was decreased in the low- and high-dose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damage of neuron in basal ganglia might be permanent after signal intensity of basal ganglia on T1-weighted imaging of brain MRI was recov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