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일반 인구집단에서 흡연과 음주습관이 혈중 납 및 카드뮴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양-반응 관계에 기초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에 수행된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납, 카드뮴 측정이 이루어진 20세 이상 남녀 1,90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습관에 따른 혈중납과 카드뮴 농도의 기하평균을 구하였으며, 분산분석(ANOVA)과 공분산분석(ANCOVA)이 이용되었다. 결과: 인구학적 변수 및 생활습관에 대한 보정 후에도 일평균 흡연량 및 알코올섭취량은 혈중 납, 카드뮴 농도와 유의한 양-반응 관계를 보였다. 일평균 흡연량은 혈중카드뮴 농도와(5개비당 약 0.1-0.2 ㎍/L 증가), 일평균 알코올섭취량은 혈중 납 농도(음주자에서 10 g당 약 0.1-0.2 ㎍/dL 증가)와 더욱 명확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흡연과 음주에 따른 혈중 납 및 카드뮴 농도의 양-반응 관계는 명확하다. 저농도의 혈중 납, 카드뮴 농도에서도 유해한 건강영향이 가능하므로 이들 생활습관의 교정을 위한 공중보건상의 노력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smoking and drinking on blood lead and cadmium levels based on a dose-response relationship in the general Korean adult population.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901 Koreans, who took part in th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which blood lead and cadmium levels were measured. Geometric mean concentration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of metals in blood were estimat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djusting for 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Results: We obser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ose-response relationship with daily smoking amount/alcohol intake and blood lead/cadmium levels. While daily smoking amount was more consistent with blood cadmium level (0.1-0.2 ㎍/L per 5 cigarettes), blood lead concentrations were higher as daily alcohol intake increased (0.1-0.2 ㎍/dL per 10 gram of alcohol). Conclusions: Our findings clearly support a relationship between daily smoking amount/alcohol intake and blood lead/cadmium levels, suggesting an additional reason towards efforts to reduce smoking and drinking hab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