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폴리프로필렌 공정의 첨가제와 직업성 피부영향

Investigation of Occupational Dermatological Problem with Additives in Polypropylene Manufacturing Process

직업성 피부질환은 선진국에서는 직업성질환 중에 서 3 0 %를 차지하는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Birmingham, 1991), 미국에서는 직업성 피부질 환을 1 0대 주요 직업병의 하나로 관리하고 있다. 우 리나라의 경우 근로자 건강진단을 통해 밝혀진 직업 성 피부질환 유소견자 수는 1 9 7 0년대에는 많았으나, 그 이후로 줄어 1 9 9 3년 5명을 마지막으로 근래에는 한 명의 보고도 없다(강성규 등, 2000). 최근 연구 에 의하면 단기간의 피부질환감시체계 하에서 직업 성 피부염에 부합되는 소견을 가진 4 9 0건을 보고 한 것을 보면(안연순 등, 1999), 이는 피부질환이 급격 한 감소한 결과보다는 여러 가지 이유로 보고가 안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임현술 등, 1996; 은희철, 1996). 오늘날 산업현장에서 중화학공업 등의 급속한 발 전으로 인하여 새로운 많은 화학물질이 합성되어 직 업성피부염의 위험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임현술 등, 1996). 이런 신종 물질들에 대한 건강영향 평가 가 새롭게 이루어 져야 하는 시급한 형편이다. 직업성 피부질환 중 가장 흔한 접촉피부염을 진단 할 수 있는 피부첩포검사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의 원인 물질 즉 지연성 과민반응을 찾는 유발검사 로 피부에 자극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여러 적절한 농도로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반응을 보는 검 사이다(대한피부과학회, 2001). 저자들은 정유공장의 폴리프로필렌( p o l y p r o p ylene) 부서와 복합수지 부서에서 근로자들이 가려 움, 피부발진 등 피부 증상을 호소하여, 이에 본 공 정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들 중 피부첩포검사를 통하 여 피부독성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