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발달로 유기용제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 으며, 벤젠에 대한 독성이 알려짐에 따라 산업장에 서는 대체 물질로서 톨루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oue 등, 1984; 이세훈 등, 1988; La Dou 등, 1990). 톨루엔은 방향족 계열로서 그라비아 인쇄시 케톤류(Methyl ethyl ketone), 아세테이트류 (ethyl acetate), 알콜류(methanol, isopropyl alcohol) 등과 함께 잉크 및 희석제, 세척제에 함유 되어 있고 상온, 상압에서 휘발성이 있는 물질이며 다른 성분을 녹이는 성질이 있어(신재성, 1993) 페 인트, 잉크, 라-카, 코팅, 염료, 고무, 살충제, 코울 타르, 아스팔트, 피치, 아세틸셀룰로오즈, 합성수지 의 용제로 사용되고 페놀, 사카린, 트리니트로톨루 엔(TNT),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등의 제 조과정에도 이용되고 있으며(Clayton 등, 1981) 최 근 포장 및 광고 인쇄물의 증가로 톨루엔이 함유된 인쇄용 잉크 및 희석제 등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다(통계청, 1998). 우리나라에서 톨루엔이 함유된 유기용제를 사용하 는 인쇄업종은 대부분이 중소규모의 영세사업체로 근 로자 수에서 전체근로자의 75.1%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통계청, 1998). 이들 사업체는 대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업환경은 열악하며 자본이 빈 약한 상태에서 적극적 예방대책인 국소배기 및 전체 환기 시설과 같은 공학적 개선 등 비교적 많은 투자 가 요구되는 작업환경 개선보다는,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개인보호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개 인보호구는 그 사용에 있어 공학적인 수단으로도 작 업환경이 개선되지 않거나 대책이 마련 중에 있을 때, 또는 임시적이나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등 마 지막 수단으로서 사용하도록 권고되고 있지만 (NIOSH, 1987) 중소사업체에서는 다른 대책에 앞 서 우선적으로 남용되고 있으면서도 보호구 착용 방 법과 효과에 대한 정기적인 보건교육이 제대로 이루 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근로자 스스로가 호흡곤란, 착용 후 발한, 안경 착용시 불편, 효과가 없는 것 같 아서, 귀찮아서, 업무 능력이 떨어짐, 다른 동료도 착용하지 않아서, 보호구가 지급되지 않아서 등(이경 용과 이관형, 1992; 황소만 등 1992)의 이유로 기피 나 착용하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 라 소규모 사업장의 보호구 착용율을 보면 항시 착용 이 28%, 작업시만 착용이 38%, 간헐적 착용이나 거의 또는 사용하지 않는다가 34%로 보호구의 의존 도와 착용율은 차이가 많다(김현욱 등, 1998).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유기용제의 인체 침입 주경 로는 호흡기이며, 호흡보호구는 근로자를 유해환경 에서 보호해 줄 수 있는 최후의 수단중 하나이다. 그 러므로 호흡보호구는 충분한 보호 능력을 가져야 하 며, 근로자도 사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만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쇄업종 중 작업환경이 열악한 그라비아 인쇄소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공기중 톨루엔 농도와 유기가 스용 방독마스크 착용여부에 따른 시간대별 생물학 적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보다 효율적인 보건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로서의 보호구 착용효과와 시간대별 대사변화에 관한 구체적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보호 구 착용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