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상지 단순반복작업 근로자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에 관한 조사

Survey on the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 in Simple Repetitive Workers Who Use Upper Extremities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 관절의 손바닥 쪽에서, 수 지 굴근 건(flexor tendon)과 같이 수근관을 통과 하여 굴건의 전방에 위치, 횡 수근 인대의 바로 밑을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압박 또는 자극됨으로써 발생 되는 지연성 정중신경마비로서 상지의 신경포착 증 후군(Nerve entrapment syndrome)중 가장 흔한 질환의 하나이다(정형외과학, 1999).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관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 는 어떤 경우라도 발생할 수 있다. 수근관 증후군의 국소적 원인으로는 지방종, 혈관종, 결절종, 건초의 종창, 부정 유합된 요골 원위부 골절 등이 있고 전신 적으로는 비만증, 당뇨병, 말단비대증, 류마티스관절 염, 통풍, 갑상선기능저하증, 유전분증, 피임약 복용 등이 있으며, 그 외 임신 중에만 일시적으로 이 증후 군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하며(정형외과학 1999), 일반적으로는 여성과 직업 등이 수근관 증후 군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원인을 알 수 없 는 경우도 많다. Phalen 등은 38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병발하는 경 우가 54 %, 원발성이 46 %이며, 여자 환자에 있어 서는 52 %가 원발성이라고 하였다(Dubowitz etc, 1988). 이처럼 수근관 증후군의 원인으로서 분명한 원인이나 병발하는 질환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 으며, 그 원인으로 직업과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에 따라 논란은 있 으나, 수근관 증후군은 상당부분이 직업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하고(Nathan et al, 1992),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에 의하면 발생환자의 47 %에서 직업과 연관이 있다고 한다 (CDC, 1989). 미국의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정의 한 감시증례기준(Surveillance Case Definition)에 의하면, 어떤 직업이 반복적이거나, 지속적 혹은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 손의 운동, 불편한 손의 자세유지, 진동을 일으키는 도구의 사용, 손목이나 수장부의 지 속적인 압박 등이 있으며 직업과 증상간에 시간적인 선행관계가 성립한다면 수근관 증후군과 직업간의 관 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NIOSH, 1990).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 및 증후로는 손목을 잘 쓰지 못하며, 정중신경 지배영역의 감각이상, 둔감, 저림, 수지의 부종감, 작열통 그리고 무지근 약화 및 위축을 보이게 되며 이러한 증상은 특히 야간에 악화되는 경 향이 있는데 이는 혈관확장과 정맥혈의 정체로 활액막 내의 혈관이 팽대되어 수근관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 기 때문이라 한다(Tanzer et al, 1959). 감각장애가 손목관절보다 근위부쪽에서 일어나는 일은 드물지만 통증이 근위전완부나 주관절부 혹은 견관절 부위까지 방사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손목의 한 부위뿐만 아니 라 상부에 해당되는 목, 어깨, 팔, 팔꿈치의 병변도 같 이 고려해야 할 것이다(Huust et al, 1985). NIOSH의 수근관 증후군 진단기준에 대한 Jezter (1991)의 연구에 의하면 근전도검사상 수근관 증후군 으로 확진된 예를 기준(gold standard)으로 임상증 상과 이학적 소견만을 종합하여 진단된 수근관 증후 군의 민감도는 0.67, 특이도는 0.58, 양성예측도는 0.74라고 하였다(Thomas et al, 1991).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근전도검사를 시행하는 것으로서 민감도가 80~90 %, 특이도가 90 % 정도 라고 하였고(Stevens et al, 1987), 수근관 증후군 에 합당한 임상소견이 있으나 근전도검사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에 손목부위의 횡수근인대를 늘리는 수술을 시행하여 증상이 좋아지면 이 경우도 수근관 증후군 으로 진단될 수 있다고 하였다(강중구 등, 1996).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작업의 단순화와 작업강도의 증가, 기술집약적 산업의 발전, 노령 근로자의 증가, 근로자 이직율의 감소에 따라 직업과 관련되어 발생 하는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 나 이에 대한 유병률과 적정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진 선별검사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수근관 증후군의 발생위험이 높은 작업형태를 가진 육류 및 어류가공사업장 근로자와 목재소 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력 및 병력조사, 이 학적 검사와 근전도검사를 통해 수근관 증후군의 유 병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