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가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수행할 때 키보드 형태의 영향을 평가하며,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와 신경행동검사 결과의 관련성에 키보드 형태의 영향을 평가함으로서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신경행동검사 항목을 선택하고 향후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키보드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는 한글의 분당타자속도에 따라 컴퓨터를 사용한 경험이 전혀 없는 군(1군, 24명, 타자속도 0자/분), 컴퓨터를 사용하긴 하나 익숙지 않은 군(2군, 21명, 타자속도 200자/분미만) 및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는 군(3군, 25명, 타자속도 200자/분 이상)으로 나누고 성별, 연령 및 학력을 조사하였다. 신경행동검사는 컴퓨터 신경행동검사 프로그램인 SPES-K를 이용하여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부호숫자짝짓기 및 손가락 두드리기 순으로 시행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사용되는 106개의 키를 가진 키보드(1형), 일반적인 키보드를 검사에 사용되는 17개의 키(10개의 숫자키, 4개의 화살표 키, 양쪽 Ctrl 키, 스페이스 바)만 두고 나머지 키는 제거한 키보드(2형) 및 11개의 키(10개의 숫자키, 스페이스 바)로 된 특별히 제작된 키보드(3형)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군이 49.9세, 2군이 33.6세 및 3군이 28.9세였으며,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8.88, p<0.001). 남녀의 구성은 1군, 2군 및 3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수준은 1군이 평균 10.3년, 2군이 15.3년 및 3군이 17.1년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9.605, p<0.001), 분당 한글 타수는 1군은 0회, 2군은 평균 79.2회 및 3군은 224.2회였다(F=165.983, p<0.001).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손가락 두드리기에서 연령과 교육수준을 보정한 평균반응시간과 반응시간의 표준편차 및 오답수는 세 가지 키보드 형태 모두에서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부호숫자짝짓기에서는 1형 키보드 형태에서 연령과 교육수준을 보정한 후 1군은 3448msec, 2군은 2520msec 및 3군은 2753msec로 1군과 2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347, p=0.041, Bonferroni F 사후검정). 그러나 2형 키보드 형태나 3형 키보드 형태에서는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호숫자짝짓기의 오답수는 연령과 교육수준을 보정한 후 세 가지 키보드 형태 모두에서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행동검사 결과를 한글 타자속도에 따른 각 군내로 한정하여 세 가지 키보드 형태간의 차이를 비교하면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및 손가락 두드리기의 검사 결과는 세 가지 키보드 형태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평균반응시간의 표준편차 및 오답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반응시간이 1군에서 1형 키보드로 검사를 한 경우 4630 msec, 2형 키보드로 검사한 경우 3265 msec 및 3형 키보드로 시행한 경우 3519msec로 1형 키보드와 2형 키보드간 및 1형 키보드와 3형 키보드간에서 유의한 있었다(F=6.197, p=0.003, Bonferroni F 사후검정). 2군의 경우에는 세 가지 형태의 키보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3군의 경우에는 1형 키보드로 검사한 경우 1915msec, 2형 키보드로 검사한 경우 1761 msec 및 3형 키보드로 시행한 경우 1784 msec로 1형 키보드와 2형 키보드간 및 1형 키보드와 3형 키보드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8.950, p<0.001, Bonferroni F 사후검정). 결론: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나 키보드에 의한 영향이 많다고 생각되는 근로자 집단에 대해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및 손가락 두드리기와 같은 검사항목이 다른 검사에 비해 타당성이 좋은 검사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나 키보드 형태에 영향을 받는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대상자의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를 결과의 해석에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부호숫자짝짓기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합한 키보드의 선택에 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일반적인 1형 키보드에 비해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인 2형과 3형의 키보드 사용이 권고된다.
Objectives: A stratified cross-over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miliarity with computer on the performance of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s. Effects of keyboard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with computer and performance of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s were also examined. Methods: We tested 70 person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egree of familiarity with computer: Group 1 was people with no computer competency, Group 2 had slight working experience on the computer, and Group 3 were highly competent and efficient on the computer. For each group, we executed 4 test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imple Reaction Time, Addition, Symbol Digit, and Finger Tapping Speed). Three types of keyboard were applied for all three groups. Type 1 keyboard was a conventional layout with 106 keys. We removed the unused keys except for the 17 which were used in the test and remodeled the normal keyboard into Type 2 keyboard with 17 keys (10 numeric keys, 4 arrow keys, space bar, and both Ctrl keys). Type 3 keyboard with 11 keys consisted of 10 numeric keys and the space bar was newly developed for the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performanc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Simple Reaction Time, Addition, and Finger Tapping Speed were not affected by familiarity with computer and type of keyboard. The mean reaction time of Symbol Digit adjusted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with Type 1 keyboard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F=3.347, p=0.041). The performance of Symbol Digit in Group 1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Group 2. The performances of Symbol Digit measured with Types 2 and 3 keyboards were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Groups 1 and 3, the performances of Symbol Digit measured with Type 1 keyboar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keyboard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imple Reaction Time, Addition, and Finger Tapping Speed have high priority over other neurobehavioral tests for the workers having varying degrees of computer familiarity. It is also suggested that familiarity with computer and keyboard type needs to be considered in interpretation of the performance of Symbol Digit. We recommended executing the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with keyboards 2 or 3 to reduce the effect of computer famili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