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직장금연운동 활성화 및 흡연율 감소를 위하여 직장 내 금연운동을 지지할 수 있는 보건관리자 및 일반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금연지도자 양성과정을 실시하여, 직장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 후 효과 평가를 위함이다.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직장금연지도자 양성과정에 참여한 482명의 보건관리자 및 일반관리자를 대상으로 현재 종사하고 있는 직장의 금연운동실태와 프로그램상의 요구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직장 금연의 필요성 및 기획방법, 인지행동치료 및 스트레스 관리방안, 금연상담방법 및 금연보조제 활용방법, 재흡연 예방을 위한 방법, 직장 금연프로그램 적용사례 등을 1일 10시간 강도 높은 교육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하여 금연운동을 시행할 대상자들의 지식, 태도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교육 전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사업장중 사내 흡연율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사업장은 78.4%, 직원대상 금연사업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사업장은 82.8%였으며 계획하고 있는 금연사업방안으로 포스터, 표어, 스티커 사용 등이 있었으며 환경조성방법으로 금연건물설정이 60.6%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 전, 후 금연에 대한 지식, 태도에 대한 조사에서 교육 전,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금연 지식항목 중‘금연의지가 있는 환자나 주위의 사람에게 니코틴 대체요법을 알려줄 수 있다’의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금연 태도 항목에서는‘흡연하는 직원들에게금연의도를 알아보고 금연의지가 있는 사람에게는 여러가지 금연법을 알려주겠다’의 항목과‘금연교육 프로그램이 있으면 참여하거나 주위 동료에게 권유하겠다’의 항목에서 교육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가장 큰 변화를 보인 항목은‘보건관리자의 금연권고는 흡연하는 직원의 금연에 도움이 된다’의 항목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중적인 프로그램을 이용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피교육자들의 지식, 태도의 변화를 통하여 효과적인 직장금연지도 및 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제시되었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anti-smoking readership training program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health managers and supervisors in the workplace. Methods: We surveyed 482 health managers and supervisors in the workplace from April 2005 to September 2005. The questionnaire included whether or not a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their workplace. We assessed before and after educations program about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for smoking cessation. The 10-hour education program included the benefit of quit smoking, the law for smoking restriction, cognitive therapy, stress management, nicotine addiction, replacement therapy, case study about workplace for anti-smoking policy and program. Results: For the change in the mean scores of all items i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Even a short, 10-hour intervention course of anti-smoking leadership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knowledge, attitude, practice to quit smoking activity in workplace. Nevertheless, the program effectiveness would be increased by including a re-training course and website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