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사업장에서의 법적 부담 작업과 근골격계 증상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중소규모사업장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한 대학병원이 보건관리대행을 시행하고 있는 사업장 112개 근로자 전체 9950명에 대해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분석 대상 근로자는 7626(76.6%) 명이었다.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평가는 산업위생사가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부담작업을 평가하여 연구대상 근로자를 1)부담작업 없는 사무직 2) 부담작업 없는 생산직 3) 부담작업자(컴퓨터 작업 사무직 포함)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근골격계 부담작업과 근골격계 증상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해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준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BMI, 가사업무), 업무관련 특성(교대근무, 잔업여부, 근무기간, 작업량 변화, 업무 긴장도)을 보정한 결과는 근골격계 부담 작업자가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하지 않는 사무직 근로자(기준)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교차비(1.542)를 보여 주었다. 부담 작업이 없는 근로자에서는 생산직과 사무직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업장의 법적 부담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lationship of burdened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Method: After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9,950 workers in 122 workplace, 7,626 workers(76.6%)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study analysis. Industrial hygienists visited 122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burdened works within the workplace. The selection of jobs with significant burden was based on the Ministry of Labor’s recent notification in 11 types of job description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non-burdened white collar workers, 2) non-burdened blue collar workers, and 3) burdened workers (include some VDT work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ed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Results: The burdened worker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non-burdened white collar workers and non-burdened blue collar workers(OR:1.57, 95% CI: 1.314-1.87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port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etween non-burdened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Conclusion: To prevent or diminish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we need to better manage burdened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