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국내외를 아울러 직무스트레스와 금연의지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중소 규모 사업장 남성 흡연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금연의 지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중소규모 사업장 69곳의 남성 근로자 4,435명에 대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단축형(KOSS-SF)과 사회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등을 묻는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2,840명 중 흡연 남성 근로자는 1,663명이었고, 이 중 부적절한 응답을 한 근로자 306명을 제외한 흡연자 남성 1,357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부 영역들과 금연의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최종 학력, 운동, 하루 평균 흡연량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보정하였고, 직무 자율성 결여(OR 1.69, 95% CI, 1.26~2.27), 조직 체계 (OR 1.37, 95% CI, 1.03~1.82), 보상 부적절(OR 1.37, 95% CI, 1.03~1.82)영역의 스트레스요인 점수가 낮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금연의지가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결론: 중소규모 사업장 남성 흡연 근로자에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 중 직무 자율성이 결여되고, 조직체계가 부적절하며, 보상부적절이 높을 때 금연 의지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he willingness of male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y to cease smoking.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each respondent’s socio-demographics, job stress, and the will to cease smoking. A KOS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bas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hich targeted 4,435 male workers at 69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ies. 2,840 men returned these questionnaires with 1,663 of them being smokers. We analyzed 1,345 of the smoker returns. We estim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 to cease smoking and the employee job stress fact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After adjusting for education, exercise, and tobacco use per da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will to cease smoking and job stress. The odds ratios regarding insufficient job control were at 1.69 (95% CI, 1.26~2.27), organizational system at 1.37 (95% CI, 1.03~1.82), and lack of reward at 1.37 (95% CI, 1.03~1.82).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job stres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will to cease smoking. Further preventive efforts and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