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조선업 근로자의 족부백선 유병률 및 관련 요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inea Pedis in Workers of Shipbuilding Industry

족부백선은 피부 진균증으로 일반인에서도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특정 인구 집단인 작업장이나 지역 집단 등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는 보고도 있다 (김정애 등, 1992a; 김정애 등, 1992b; 서구일 등, 2000; 서호석 등, 2001). 유병률의 차이는 연구 시 기나 방법, 진단기준의 차이 외에도 본 질환이 주위 환경 요인이나 생활 습관 등 외부 요인과 밀접한 관 계가 있음을 시사하며 일부에서는 작업관련성을 의 심하여 직업성 피부질환의 하나로 보고한 바 있다 (은희철 등, 1982; 임현술 등, 1996; 박재범 등, 1997). 국내에서 직업성 피부질환은 접촉성피부염이 가장 흔하고 산업 현장에서의 물리적 요인, 각종 화학물 질 노출 외에 세균, 진균의 감염과 같은 생물학적 요 인이 피부 질환 발생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들이 며, 족부백선도 이러한 의미에서 일부 작업장에서 직업성 피부 질환의 하나로 볼 수 있으나, 실제로 족 부백선이 직업성질환으로 인정받고 산재요양이나 치 료를 받은 근로자는 전무한 실정이며, 족부백선의 작업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 중에 있다. 은 희철 등(1982)은 족부백선은 성별, 직업 등에 의해 많은 차이를 보이고 특히 기후, 경제정도, 생활습관 및 주거양식 등이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 질환을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판단하는 데에는 주의 를 요한다고 언급하였다. 김정애 등(1992a, b)은 하 수처리장과, 쓰레기처리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에서 족부백선의 높은 유병률을 관찰하고 그 원인으로 보 호장화의 착용, 공동샤워장의 사용, 오염된 물 또는 흙과의 접촉 등을 원인으로 추정하였지만, 뚜렷한 원인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박재범 등(1997)도 도 장부서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에서 족부백선의 유병 률이 사무직근로자들보다 높음을 관찰하고 그 원인 을 밀폐된 안전화착용으로 추정하였으나 역시 원인 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울산지역의 한 대규모 사업장에 근 무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피부과 적 이학적 검사 및 진균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족부 백선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족부백선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여 족부백 선의 작업관련성 유무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