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PFOA에 노출이 가능한 제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혈청 PFOA농도를 조사하고 생활습관, 직업적 요인, 간기능 및 혈청 지질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8월부터 12월까지 부산지역 1개 대학병원 산업의학과에서 건강진단을 받은 PFOA노출 가능성이 있는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 남자 203명과 여자112명의 총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활습관 및 직업적 요인을 설문조사 하였고, 혈청 PFOA 농도를 LC-MS/MS로 분석하였으며, 간기능 및 혈청 지질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혈청 PFOA 농도의 평균은 전체가 8.0 ng/mL이었으며, 남자가 9.0 ng/mL, 여자가 6.3 ng/mL로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 연령,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성에서, 연령이 많을 수록, 총 콜레스테롤이 높을 수록, 체질량지수가 낮을 수록 혈청 PFOA의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성과 연령을 보정한 교차비를 산출한 결과, 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OR 6.16)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주형 및 금형 제조업(OR 4.84), 선박 구성부분품 제조업(OR 3.87), 플라스틱 합성피혁 제조업(OR 10.05)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 제조업 근로자들의 혈청 PFOA 농도는 성, 연령 및 총 콜레스테롤 등과 관련성이 있었고, 업종별로는 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에서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FOA의 인체 위해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치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erum perfluorooctanoic acid (PFOA) concentr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lifestyle, health status and work-related factors among workers at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possible occupational exposure to PFOA.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315 workers (male 203, female 112) of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possible exposure to PFOA from August to December, 2007.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investigate lifestyle and work-related factors. Serum PFOA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LCMS/MS, and liver function and total cholesterol were also tested. Results: Serum PFOA concentrations ranged from 1.0 to 40.9 ng/mL (mean 8.0 ng/mL). Serum PFOA concentrations increased with age. Male workers had higher PFOA concentration than female workers (male 9.0 ng/mL; female 6.3 ng/mL). According t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FOA concentration were male, being older, higher total cholesterol, and lower body mass index. Adjusted for age and gender by logistic regression, dyeing and finishing textiles had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R) of 6.16, and moulding patterns, moulds and industrial patterns (OR=4.84), sections for ships (OR=3.87), and plastics synthetic leather (OR=10.05) had marginally significantly high odds ratio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factors affecting serum PFOA concentration of workers at manufacturing companie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nsure the effect of occupational exposure on serum PFOA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