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은 중요한 직업관련성 질환중의 하나이고 작업관련 수근관증후군은 이러한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중에서도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연구는 작업관련 수근관증후군의 역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수근관증후군 감시체계’를 통해 2000년 6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보고 된 672례의 수근관증후군 사례를 분석하였다. 직업력이 확인된 314명을 대상으로는 직업 및 작업내용에 따라 작업관련성 수근관증후군의 비율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수근관증후군 위험요인을 조사하였다. 결과: 직업력이 확인된 314명의 환자 중 작업 관련성이 의심되는 사람은 228명 (72.6%) 이었다. 직업별로는‘단순노무종사자’, ‘농림어업숙련자’, ‘서비스종사자’등에서 작업관련 수근관증후군의 비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작업관련성 수근관증후군의 비율이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연령, 비만도 지수, 과거병력 등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주관적 증상 중에‘손을 많이 사용한 후 심해진다’와‘손을 털면 덜해진다’라는 항목을 작업관련성 수근관증후군 환자에서 더 많이 호소하였고 다른 증상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작업관련성수근관증후군 환자가 비교적 많이 노출되는 작업은 ‘지나치게 손을 뻗쳐서 하는 일’, ‘손을 불편한자세로 유지하는 일’등이었다. 결론: 전체 수근관증후군 중 작업관련성이 있다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근관증후군 감시체계가 작업관련성 수근관증후군의 여러 특성을 밝히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까지는 중재 대상을 구체적으로 특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Objectives: Carpal tunnel syndrome (C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 related musculo- skeletal diseases in Korea. However, there are few epidemiologic studies on the work-related CTS (WR-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WR-CTS in Korea. Methods: Data obtained from the “CTS Surveillance System”. Physician case-reports in the surveillance were used to document patterns of WR-CTS by age, gender, occupation, sign, symptom, working history. Results: Six hundred and seventy-two cases of WR-CTS were ascertained of which 314 with complete information on occupational history were analyzed. It has been estimated that as many as 72% of all CTS cases are work-related. The highest proportion of WR-CTS was observed in ‘elementary occupation workers’, followed by ‘skille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The distributions of WR-CTS case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age, obesity, and past medical history. The proportion of WR-CTS was higher in fem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between WR-CTS and non WR-CTS cases. Repetitive work and the inappropriate hand posture seemed to be the risks for WR-CTS. Conclusion: WR-CTS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The CTS surveillance system is quite useful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WR-CTS, but it remains of limited use in targeting specific industries and occupations for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