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을 통한 카드뮴의 Apoptosis 유도

Cadmium-induced Apoptosis in HL-60 Cells Via Signal Transduction

카드뮴은 인체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중금속으로 산업장에서의 광범위한 이용 및 환경오 염의 심화로 인한 노출 증가와 식품 또는 흡연을 통 한 생체내 유입의 증가는 인체의 만성적인 노출을 유발하고 있어 중금속에 대한 독성학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Goyer, 1996). 카드뮴은 일반적으로 신기능장해, 간조직손상, 골 연화증을 유발하며, 저농도의 카드뮴에 장기간 노출 시킨 실험동물에서 고환조직손상, 생식독작용 및 발 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드뮴 독성에 관한 초기 연구는 카드뮴에 급성 및 만성으로 노출 되었을 때 표적장기인 신장과 간장 및 고환 등의 조 직이나 세포에서의 카드뮴 축적, 카드뮴 유입과정 및 유입된 카드뮴의 세포내 대사과정에 참여하는 여 러 효소와의 상호작용 등에 집중되어 왔다(Cherian 등, 1978; Eaton 등, 1980; Dudley 등, 1982; Agarwal, 1988; Goyer, 1996). 그간의 연구들은 주 로 카드뮴이 과산화 연쇄반응(peroxidative chain reaction)을 자극하여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를 촉진하고 이로 인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이 활성화되어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Fukuno 등, 1984; Halliwell 과 Gutteridge, 1985; Oteiza, 1999). 한편, 카드뮴을 비롯한 중금속의 인체에 미치는 영 향 및 독성기전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은 여러 분야에 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중금속의 급∙ 만성 세포독성기전과 발암작용에 있어 endonuclease를 활성화이거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과 같은 reactive-free radical을 생성하거 나(Nath 등, 1996; Hultberg와 Andersson, 1998) 세포신호전달체계를 경유하는 세포고사 (apoptosis)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 (Lohmann과 Beyersmann, 1993; Azzouri 등, 1994; Shenker 등, 1997; Habeebu 등, 1998; Hirata 등, 1998)이 보고되고 있다. 그 러나 이러한 여러 연구보고에도 불구하고 카드뮴의 정확한 독성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세포고사는 외부적 환경의 변화에 급격히 일어나 는 수동적 죽음인 괴사(necrosis)와는 달리 세포내 부에 존재하는 계획된 죽음의 프로그램이 신호에 의 해 개시된 세포에서 여러 유전자들이 발현됨으로써 일어나는 능동적인 죽음이다. 세포고사는 괴사와는 다른 독특한 형태와 생화학적인 특징을 동반하는 유 전자 활성에 의하여 조절받는 생리과정이다(Wyllie, 1980; Cohen, 1993). 세포괴사가 세포의 심각한 상해로 세포막의 파괴, 세포의 팽창(swelling), 용 해(lysis)를 동반하는 반면에 세포고사는 빠른 세포 탈수현상에 의한 세포의 수축, 세포막의 수포화 현 상(blebbing), 세포질내의 칼슘(calcium) 농도의 증가, chromatin의 응축, endonuclease의 활성화 에 의한 DNA의 사다리 모양의 분절 형성, transglutaminase의 활성화 및 핵의 절단과 아포토틱 소 체(apoptotic body)의 형성을 동반한다(Cohen, 1993; Klaus와 Davide, 1998). 한편, 세포고사가 발현되기까지는 세포내부의 복잡 한 신호전달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Wyllie, 1980; Searle 등, 1982; Cohen, 1993; Klaus와 Davide, 1998) 이것은 종양치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에 의한 세포사멸 연구와 함께 일부 신호 전달기전이 밝혀지면서 시작되었다(Amer 등, 1996; Daniel 등, 1996). 그간의 연구들에서 세포고사의 과정에는 caspase계 cysteine proteases(caspase family cysteine proteases)나 MAP kinas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와의 관련성 이 제시되고 있으며(Blenis, 1993; Xia 등, 1995; Alnemri 등, 1996; Enari 등, 1996; Klaus와 Davide, 1998), 또한 AP-1(activator protein-1), NF-κB와 같은 조기 반응 유전자 (early immediate gene)등의 전사인자(transcriptional factor)와 많은 관련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 자들의 활성화 여부 및 양상을 관찰한다면 정확한 세 포고사 유도기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카드뮴의 세포고사 유도에 대한 그간의 연구들은 드 물며 이에 대한 정보 역시 매우 제한적이다(Corcoran 등, 1994). 현재까지의 in vivo, in vitro 연구는 조 직 또는 세포가 중금속에 노출시 폭로량 및 시간적 변이에 따라 고사 또는 괴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 려져 있으나, 그 유도기전에 대해서는 확실히 밝혀 진 바 없다(Beyersmann과 Hechtenberg, 1997; Wang과 Templeton, 1998). 따라서 본 연구에서 2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4 권 제 1 호 2002년 는 acute promyelocytic leukemia에서 기원한 HL-60 세포를 이용하여 카드뮴에 의한 세포의 형태 학적∙생화학적인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카드뮴이 세 포고사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항산화 물 질(antioxidants)이 세포고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caspase cysteine protease, c-Jun N-terminal kinase(JNK) 및 전사인자(transcriptional activator)인 AP-1과 NF-κB의 활성여부를 규명함 으로써 카드뮴의 세포고사 및 유도기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