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성 피부질환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것이 많고 일과성인 것도 흔하여 공식적으로 보고되는 것 은 실제 발병률에 비해 극히 적은 수이지만, 모든 직 업병 중에 15~20 %를 차지하는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미국의 경우는 10대 주요 직업병중 하나로 관리되고 있다(NIOSH, 1999). 피부는 작업장에서의 화학물질이나 기타 오염원의 주요 인체침입경로가 된 다. 대부분의 피부질환은 유기용제나 절삭유와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에서 이들 물질에 의한 독성작용으로 자극성 접촉피부염이 생기는 것으 로 알려져 있지만, 기타 농약취급자, 라텍스노출자 등 에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는 보고도 있다(HHS, 1997). 대개의 직업성 접촉 혹은 알레르 기성 피부염의 예후는 불량하여 만성 피부질환으로 이환되며 특히 라텍스 알레르기의 경우는 위급한 상 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최근 이러한 자극성, 알레르 기성 피부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는 피부질환이 잘 생기는 위험군으로 농업종사자, 간호사 및 제조업근로자들을 관리하고, 이러한 발병기전을 연구하며, 가능한 노출을 억제하 기위한 보호크림이나 보호구 등의 효능판정이 새로이 연구가 요구되는 분야가 되고 있다(NIOSH, 1999).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기용제와 절삭유 취급근로자 에 대한 피부질환 연구(박재범 등 1997; 천병철 등, 1996)에서 높은 유병률을 확인한 바 있고, 다양한 자료원을 통한 근로자들의 피부질환 특성이나 의료이 용에 관한 연구(안연순 등, 1999a; 안연순 등 1999b)를 시도한 바도 있다. 그러나 피부질환의 특 성상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고 가역적이며, 현행 의 특수건진상 의사들의 피부질환에 대한 지식과 관 심이 부족하여 진단이 어려워(은희철, 1996), 궁극 적인 질병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유병의 추이를 파악 하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러한 피부질환의 관 리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다른 직업성 질환과 마찬가 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의 수집, 분석, 배포 를 통해 궁극적으로 질병예방을 추구하는 직업성 질 환의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것이지만(Baker 등, 1989), 중요한 것은 지역단위의 산업보건사업에 대 한 결정은 여타의 공중보건문제와 마찬가지로 지역사 회내의 요구도의 특성, 보건문제의 결정인자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체계 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이동배 등, 1999; Baker, 1989). 직업병 감시체계는 질병감시체계와 노출감시체계로 구분할 수 있고(송동빈, 1997; 강대 희, 1996), 질병감시체계는 환자위주의 감시체계와 율위주의 감시체계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율위주의 감시체계는 역학적 사안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질병 이나 상해 혹은 환경노출자의 발생률을 구하여 추이 를 보는 것이다(염용태, 1996). 그러나 감시체계란 지속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며, 그 결과를 배포 하여 공유하므로서 궁극적으로 질병예방을 위한 개입 조치로 이어져야 하므로(Teutsch and Churchill, 1994; Halperin and Baker, 1992; Baker 등, 1989), 감시체계를 시도하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자료수집 및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예 방조치로 환류시키기 위한 근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선진국을 비롯하여 최근 들어 시도 중인 우리나라의 직업병 감시체계에서 질병위주의 감시체 계보고자로 의사들을 활용한 것(임종한 등, 1998; 이상준, 1998; Matte et al, 1989; Rustein 등, 1984)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산업보건관리제도 상 보건관리대행사업을 통하여 중소규모의 사업장에 일차보건의료의 철학에 근접하면서도 단순한 환자의 요구에 의한 의료서비스 뿐 아니라 건강증진을 포함 한 포괄적이고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보건관리대행기관 협의회, 1997), 이들 보건관리대행 간호사를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수집 뿐 아니라 궁극적인 예방조 치를 수행하는 이중적 역할을 할 수 있겠다. 그러므 로 본 연구에서는 산업보건관리제도상 중소사업장의 보건관리를 맞고 있는 보건관리대행 간호사를 파수 형 사건의 보고자로 활용하여 근로자들의 자각증상 에 따른 질병유병 중 접촉성 피부염을 파악하기 위한 지역 직업병감시체계의 처음시도로서 설문조사를 실 시하고 유증상자를 이송하는 임시적인 이송체계를 구축하여 이를 통해 유병률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