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대구시의 대기오염이 일별 사망에 미치는 영향(1993~1997)

Effect of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Daegu (1993~1197) 주제어

근래 과학의 비약적인 발전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시간의 개념이 바뀌고 인간의 생활은 편리하게 변화 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공업의 발달과 이에 따른 인구의 도시 집중화, 자원의 무절제한 개발 등의 결 과로 우리가 생활하는 환경의 오염이란 피할 수 없 는 문제도 초래하였다. 그 중 대기오염은 불특정 다 수인에게 피해를 주어 지역사회 수준에서 고려하여 야 할 대표적인 환경오염이다. 1970년대 이후 공업화와 인구의 도시 집중현상으 로 야기되었던 우리 나라의 대기오염은 1980년대 이 후 자동차 보급의 급증과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각 종 화학물질의 사용증가로 오염이 확대되었고 오염 의 형태도 오존(O3),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발생 등으로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또 국제 적으로도 중국 등 인접국가의 급격한 산업화 추세에 따라 국경간 오염물질의 이동이 증가하였으며 기후 변화, 오존층의 파괴 등 총체적인 환경위기의식이 고조되었다(환경부, 1997).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도 대기환경기준의 목표설정과 배출허용기준을 적용 하여 규제를 엄격히 하고, 각종 대기오염 저감정책 을 실시하여 대기질은 상당히 개선이 되었으나 자동 차의 급증으로 인한 이산화질소(NO2) 및 오존(O3) 의 오염도는 완만하게 증가를 계속하여 지속적인 대 책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기오염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다 양하며, 주로 사망률 증가와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 환의 증가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은 사망률을 증가시 키며(Logan, 1953; Hechter and Goldsmith, 1961; Mazumdar et al., 1982; Ostro, 1984; Derriennic et al., 1989; Katsouyanni et al., 1990; Schwartz and Marcus, 1990; Kinney and Ozkaynak, 1991; Pope Ⅲ et al., 1992; Schwartz and Dockery, 1992; Dockery et al., 1992; Schwartz, 1994b; Xu et al, 1994; Moolgavkar et al., 1995; Touloumi et al., 1994, 1996; Spix & Wichmann, 1996; Verhoeff, 1996; Hoek et al, 1997; Kelsall et al., 1997; Simpson et al., 1997; Zmirou et al., 1998; Bremner et al., 1999, Hong et al., 1999; 이종태 외, 1998, 1999; 권호장과 조수 헌, 1999; Lee & Schwartz, 1999; Lee et al, 1999). 그 외에 천식환자에서 천식증상발작의 빈도 를 증가시키며(Dockery et al., 1989; Schwartz et al., 1993; Buchdahl et al., 1996; Anderson et al., 1998), 하기도 감염의 발생률 증가(Samet, 1992; Thurston et al., 1994), 만 성심폐질환자에서 질병의 악화(Ciocco and Tompson, 1961; Sunyer et al., 1991; Ponka and Virtanen, 1996), 폐기능의 감소(Young, 1964; Ferris, 1979; Linn et al., 1987; Schwartz, 1989; Horstman et al., 1997; Gold et al., 1999), 천명과 흉부압박감, 의학적 주의를 요하는 기침 및 객담의 발생률의 증가(Schwartz, 1992; Chen, 1998; Zemp, 1999), 급성상기도감 염의 발생률 증가(Bates and Sizto, 1989; Pope Ⅲ, 1996), 정상활동을 방해할 수 있는 눈, 코, 인 후자극증상 등을 유발하며, 암의 발생도 증가 (Jacobson, 1984; Pope Ⅲ et al., 1995; 성주헌 외, 1997)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기 오염의 형태와 특성은 시대에 따라, 각 지역별로 평가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대기오 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란 쉬 운 일이 아니다. 대기오염과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 한 연구는 크게 독성학 연구와 역학적인 연구로 대 별된다. 역학적 연구는 일상환경에서 사망률과 같은 비가역적 영향,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을 평 가하는데 좋다. 그러나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어렵고 잠정적인 수 많은 교란변수들을 통제하여야 하며, 항상 여러 오염물질에 폭로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폭 로를 평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Committee of the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assembly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1996a). 역학적 연구 중 시계열자료분석은 대기오 염의 단기영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여 최근 수년동 안 인구집단에 근거한 일별 시계열분석이 주를 이루 게 되었다. 이 연구들에서는 일별 대기오염의 변화 에 따른 일별 사망률의 변화가 오염의 정도가 낮을 때에도 사망률과 관련이 있음을 일관되게 보여주었 다(Dockery et al., 1992; Touloumi et al., 1994; Saldiva et al., 1995; Spix and Wichmann, 1996; Hoek, 1997). 236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2 권 제 2 호 2000년 우리 나라에서 대기오염과 관련된 건강문제에 관 한 연구는 공업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1970년대 이 후부터 시작되었으며(신영수 외, 1972; 차철환 외, 1988; 조수헌, 1989; 권호장 외, 1994 ; 강연구 외, 1995; 임종한 외, 1998), 대기오염과 사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활기를 띠게 되었고(김윤신과 문정숙, 1997; 이종태 외, 1998, 1999; Hong et al, 1999; Lee & Schwartz 1999), 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의 여러 도시에서도 지역이나 시기, 대기오염의 성분과 농도가 다를지라도 대기오염이 사망과 관련 이 있는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오 염과 사망에 관한 자료는 주로 서울을 대상으로 하 였으며(이종태 외, 1999; Lee & Schwartz 1999), 그 외 울산, 인천에 관한 연구(이종태 외, 1998; Hong et al, 1999; Lee et al, 1999)는 있 으나 지형과 기후의 특성이 기타의 도시와 다른 대 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는 일부가 산으로 둘러 쌓인 분지이고, 지 형의 특성상 기온의 연교차가 심하고 계절의 변화가 급속한 편이며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대규모공단이 시내에 산재해 있으며, 기업체 의 대다수가 영세 하청기업으로 공해물질을 대량으 로 배출하여 지형적 요소와 더불어 효과적인 대기개 선을 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대구광역시, 1998). 대 구시는 1994년도에 전국 47개 도시 중에서 두 번째 로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였으며, 1997년도 대기질측 정에서 연평균 지름 10 ㎛미만의 미세먼지(PM10)와 SO2가 전국 7대 도시 중 최고치를 보였다. 특히 중 리동은 연평균 SO2가 0.043 ppm으로 대기환경기준 인 0.03 ppm 이하를 초과하였다(환경부, 1997).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에서 발생하는 현재 수준 의 대기오염이 인구집단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여 대기오염에 의한 사망의 예방을 위한 대기환경개선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