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The Health Status Assessment of Subcontracted Workers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 노동시장은 고용불안정 과 노동이동현상의 심화로 특징 지울 수 있는 중요 한 구조적 변화를 겪어 왔다. 이러한 변화는 국제통 화기금(IMF) 관리체계에 들어가면서 매출액 감소에 따른 감량 경영, 경제위기에 따른 분위기 변화, 부서 통폐합 등 기업조직 혁신 및 구조조정 등이 중요한 고용조정 동기로 작용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고, 노 동시장의 유연화 정책과 근로자 파견법 시행으로 고 착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실업자가 발생하였고, 고용불안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 다. 1997년 12월 이후 매우 빠르게 증가하던 실업률 은 1998년 중반 증가세가 다소 주춤하였으나 다시 증가하여 1999년 2월에는 실업률이 8.7 %에 이르 렀다(통계청, 1996-1999). 그 이후 실업자 수는 감 소세로 바뀌었으나, 최근의 제 2차 구조조정으로 실 업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일어나는 대량실업의 현상은 실업자의 수가 양적으로 늘어나는 ‘규모’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반복실업’으로 상징되는 고용구조와 노 동패턴의 변화의 문제이기도 하다. 고용의 발생과 실 업이 반복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고용 불안과 고용의 질 악화 및 불평등의 확산이 사회적으 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기업의 규모 및 고용 형 태에 따라 노동조건의 악화가 차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노동구조의 이중화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하청 근로자 의 확대와 비정규 근로자의 증가는 ‘사회로부터의 배 제’라는 사회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심상완, 2000). 따라서 본 연구는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으로 특징 지워지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고용실태 및 이직현상을 파악하고 이로 인해 파생되는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평가의 현재 적 의미와 평가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노동의 유연성은 불안정한 경기 변동에 맞추어 노 동력의 규모, 노동시간, 임금 등을 조정함으로써 기 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확보하려는 목적을 담고 있으 나, 기존의 고용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반 문제점 을 야기하고 있다. 노동의 유연성은 노동시장, 노동 과정, 노동력 재생산 등 전과정에 걸쳐 영향을 미치 면서 추진된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유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지만, 크게 노동시장의 유연 성, 노동과정의 유연성, 노동력 재생산의 유연성 및 노사관계의 유연성으로 나뉠 수 있다(박준식, 1993; 박준성, 1998;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1999; 이병 희, 1999). 이 중 수량적 유연성이 급격한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김혜진 등, 2000). 특히 모(母)기업이 생산량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처 하고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청업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모기업의 근로자보다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노 동의 유연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하청업체는 모기 업이나 비하청 중소기업에 비해 저숙련, 저학력 근로 자 등 질적으로 열세에 있는 근로자가 주를 이루고 있어 상대적으로 저임금의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고 생산비용을 낮추는 좋은 수단이기도 하다(홍장표, 1993). 상대적으로 기술 숙련도가 낮아도 수행할 수 있는 단순 반복적인 작업이나 노동집약적 공정, 또는 위험도가 높거나 기피대상이 되는 작업에 대해 집중 적으로 하청화를 진행하고 있어 이러한 작업배치 전 환을 통해 직영근로자들을 회유하여 작업장내 노동통 제력 회복을 위한 좋은 수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홍장표, 1993, 허민영, 1997). 이처럼 모기업과 하 청기업 사이에 노동력 구성이 달라지고 동일 사업장 에서 유사한 작업과정에 종사함에도 불구하고 소속에 따라 임금이 다르게 지불되며 노동환경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하청기업과 모기업간에는 전반적인 구조적 이질성이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 서 볼 때, 하청기업에 대한 산업보건은 모기업과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동의 유연성’이라는 큰 흐름은 본 연구 의 대상인 조선업종에서도 일관적으로 적용되고 있 다. 왜냐하면 조선 산업은 호ㆍ불황기에 대비한 인력 및 설비의 탄력적 조정이 필수적인 산업이기 때문이 다. 만약 어떤 기업이 불황기에 방만한 인력 및 잉여 설비를 갖고 있다면 그 기업은 과도한 유지 비용으로 재정상태의 부실화의 가능성이 커질 것이고, 반면 호 황기에는 보유인력과 설비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충 분한 수주 물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것이다(홍성인, 1998). 따라서 조선산업도 인력고용의 유연화를 극 대화하고 있으며, 특히 ‘사내하청(社內下請)의 확대’ 라는 형태로 발달해 왔던 점은 주목할 만하다. 우리 나라 조선업의 고용규모는 1983~1985년 7 만명 이상의 수준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였으며, 이 19 최홍열 등∙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와 같은 감소 추세는 90년대 초반 조선업종의 경기 가 불황을 벗어난 이후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최근 수주량 및 건조량이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 고 모기업의 근로자 수는 약간의 증가세를 보였을 뿐 이다. 이는 모기업이 불황기의 잉여인력에 대해 주로 정규직 고용인원이 아닌 하청 근로자의 감원을 통해 대응해 왔고, 주기적인 물량 증대에 대해서는 노동강 도의 강화를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을 통해 대처해 왔 기 때문이다(임영일, 1993). 노동생산성 향상을 통 한 단위당 필요인력의 절감을 위한 노력은 지금도 계 속되고 있는 것으로 향후 필요량의 증대 역시 상당부 분 이를 통해서 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감 당하기 힘들 정도로 물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정규고 용인원의 증가보다는 일시적인 하청 노동력의 동원을 통해 대응할 것이며, 하청업체의 고용 불안정 및 노 동력 이동 현상은 심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 나라의 주된 산업보건제도는 근로자건강검진 제도와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볼 수 있는데, 이 중 예방적 차원의 목적이 중시되는 근로자건강검진제도 는 주기적으로 현재 고용중인 근로자에 대한 검진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그 시행의 주기가 짧게는 1년에 2회에서 길게는 2년에 1회로 규정되어 있어 현재 ‘노동의 유연성’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하청 업체 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는데 부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노동의 유연화 과정으 로 인하여 하청업체 근로자의 경우 고용상태가 불안 정하여 장기적으로 실업 상태에 있지 않더라도 이직 율이 크게 늘어 동일업체에 장기간 근무하는 근로자 의 수가 줄어들게 되며, 이러한 동일 업체 내에서 지 속적 고용기간이 건강검진주기보다 짧은 근로자의 경우 계속적으로 검진대상에서 누락될 수 있는 문제 점이 있다. 둘째, 이러한 잦은 퇴직과 재취업의 반복 과정을 거치면서 일반 질환으로 인하여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근로자나 직업성 질환이 이미 발생한 근 로자들이 채용검진상의 결과로 인해 건강한 근로자 에 비해 재취업에서 불이익을 받게 되어 고용 유지 기간이 더욱 줄어들거나 아니면 영구적 실업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결과적으로 건강검진이 실질적으로 가장 필요한 근로자들이 오히려 구조적, 선택적으로 건강검진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마지 막으로, 건강검진 과정에서의 높은 누락율이 지속되 고 그로 인하여 하청 기업 근로자들의 전반적인 건 강 상태가 악화된다고 하여도 이러한 건강 상태의 악화를 감시하고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공식 적 산업보건제도인 건강검진이 오히려 본연의 목적 달성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며, 최악의 경 우 문제의 은폐를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마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업종의 일부 모기업과 하청 업체 근로자들의 고용현황을 조사하고, 근로자들의 3년간의 건강진단 결과를 토대로 건강진단 수검 현 황 및 유소견율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기존의 업체 중심의 건강평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하청업 체 근로자들의 건강평가의 현재적 의미와 사회적 배 제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