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성 피부질환은 선진국에서는 직업성질환 중에 서 3 0 %를 차지하는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Birmingham, 1991), 미국에서는 직업성 피부질 환을 1 0대 주요 직업병의 하나로 관리하고 있다. 우 리나라의 경우 근로자 건강진단을 통해 밝혀진 직업 성 피부질환 유소견자 수는 1 9 7 0년대에는 많았으나, 그 이후로 줄어 1 9 9 3년 5명을 마지막으로 근래에는 한 명의 보고도 없다(강성규 등, 2000). 최근 연구 에 의하면 단기간의 피부질환감시체계 하에서 직업 성 피부염에 부합되는 소견을 가진 4 9 0건을 보고 한 것을 보면(안연순 등, 1999), 이는 피부질환이 급격 한 감소한 결과보다는 여러 가지 이유로 보고가 안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임현술 등, 1996; 은희철, 1996). 오늘날 산업현장에서 중화학공업 등의 급속한 발 전으로 인하여 새로운 많은 화학물질이 합성되어 직 업성피부염의 위험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임현술 등, 1996). 이런 신종 물질들에 대한 건강영향 평가 가 새롭게 이루어 져야 하는 시급한 형편이다. 직업성 피부질환 중 가장 흔한 접촉피부염을 진단 할 수 있는 피부첩포검사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의 원인 물질 즉 지연성 과민반응을 찾는 유발검사 로 피부에 자극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여러 적절한 농도로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반응을 보는 검 사이다(대한피부과학회, 2001). 저자들은 정유공장의 폴리프로필렌( p o l y p r o p ylene) 부서와 복합수지 부서에서 근로자들이 가려 움, 피부발진 등 피부 증상을 호소하여, 이에 본 공 정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들 중 피부첩포검사를 통하 여 피부독성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O b j e c t i v e s: To investigate the causative agents for the dermatolog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olypropylene manufacturing process. M e t h o d 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44 male workers involved in the polypropylene manufacturing process. Twenty-seven of them had been exposed to additives, and the remaining 17 had not. Among the 27 exposed, 10 had been exposed previously, and 17 are currently being exposed through their duties. Patch test were performed with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0.1%, 1% and 10% of 10 different additives that was diluted with Vaseline. R e s u l t s: 18 subjects (41%) had positive reactions to the patch tests. Exposed group had a higher reaction rate (51.9%) than the control group (23.5%). When the positive reactions were further classified, 7, 6 and 5 were compatible with probably irritant, probably allergic, and multiple hypersensitivity reactions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reactions were from Ultranox626 followed by Millad 3988, Armoslip-E and Songstab Sc-100. C o n c l u s i o n s: When considering the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y of an allergic reaction rate among the currently exposed group compared to non- or previously-exposed groups, the nature of dermatological problems in a polypropylene plant is probably allergic. Ultranox-626, Millad3988, Armoslip-E and Songstab Sc-100 were the main causatives agents found in the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