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는 일부 조선업 노동자에 있어서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실태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질환에 관여하는 사회심리학적 위험요인으로서의 노동조건의 변화와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이로인한 육체적 작업강도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조선업에 종사하는 1,059명의 남성노동자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을 이용하여 근골격계 증상유무, 사회인구학적 변수,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육체적 작업강도, 노동조건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근골격계 증상과 스트레스, 육체적 작업강도, 노동강도의 변화의 관계를 살피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과 다중 로짓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해 기준 1 증상의 유병률은 89.5%였으며 등ㆍ허리(58.6%), 어깨(56.3%) 순이었다. 사회인구학적인 변수들을 보정한 후 자세요인(OR=1.06, CI=1.00~1.12), 비자세요인 (OR=1.17, CI=1.05~1.31), Borg scale로 표시한 작업의 힘든 정도(OR=1.15, CI=1.00~1.32), 상대적 노동강도가 증가 (OR=1.92 ,CI=1.08~3.41), 유연화 증가 (OR=2.04, CI=1.04~4.01), 높은 직무요구도 (OR=2.68, CI=1.48~4.88), 스트레스 고위험군 (OR=13.50, CI=3.15~57.59) 모두가 근골격계 증상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스트레스, 노동조건의 변화, 육체적 작업강도와 같은 다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높은 직무요구도, 하청·외주화와 비정규직의 도입과 같은 유연화의 증가 및 상대적 노동강도의 강화가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multipl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of shipbuilding workers, an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factors such as the change of working conditions, job stress and physical workload. Methods: The study sample comprised 1,059 shipbuilding workers.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 physical workload, change of working conditions and information concerning musculoskeletal symptoms. We estimated the relations of job stress, physical workload and intensity of labour to musculoskeletal symptoms using univariat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symptom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ny part of the body was 89.5% by ‘criteria 1’ in the order of back (58.6%) and shoulder (56.3%). After adjustment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posture factor (Odds ratio [OR]=1.06, 95% confidence interval [CI]=1.00~1.12), non-posture factor (OR=1.17, CI=1.05~1.31), Borg scale (OR=1.15, CI=1.00~1.32), relative work intensity increase (OR=1.92, CI=1.08~3.41), labor flexibility increase (OR=2.04, CI=1.04~4.01), high job demand (OR=2.68, CI=1.48~4.88), and high risk stress group (OR=13.50, CI=3.15~57.97)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MSDs have multiple risk factors such as stress, physical workload and change of working conditions. High job demand, increased relative intensification of work and increased flexibility, especially such as subcontract, outsourcing and importing of contingent work, were very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increasing WMS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