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일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개인 보호구 착용에 관련된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PPEs) Wearing of Workers in Small Scale Industries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계획에 힘입어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산 업의 발전은 규모에서 뿐만 아니라 기능기술면에서도 점차 확대∙전문화되었다. 더불어 산업장에서 발생될 수있는질병도종래의여러감염성질환보다는작업 과 관계되는 직업성질환과 산업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한국산업안전공단, 2000). 또한 근로자들 의 산업장 환경구조와 노동조건의 변화 등은 작업환 경과 직무내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이에 근 로자들은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처할 능력이 필요해졌 고, 개인의 욕구와 산업장 요구간의 불일치로 인해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를 받게 되었다(장병기, 1999). 작업환경이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 적∙정신적측면으로나누어볼수있는데,특히작 업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는 근로자가 스트레스를 포함 하는 불안과 긴장, 불만, 무기력, 갈등 등의 정신건 강호소점수가 높았고(김현주, 1991; 이명선, 1991; 이경용, 2000), 건강수준이 열악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으로 보아 작업환경과 근로자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스트레스에 의한 증후는 심장박동, 호흡곤 란, 두통, 혈압 등의 신체적 반응에서부터 불안감, 우울, 환상 등의 정신적인 반응, 나아가 조직에서의 업무실적 저하와 결근, 재해사고에 이르기까지 다양 하여,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손실 뿐 아니라, 조직적 인 차원에서의 손실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산업 장에서의 스트레스 문제는 그 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성취에 대한 산업장의 막중한 기대 와 이에 따른 구성원의 심리적 압박감은 신체상의 건강문제는 물론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피로를 가져 옴으로써 유능한 인적자원의 조기쇠퇴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와 함께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문제에 대 한 산업장의 책임의식을 제고시켰다(이학종, 1990). 근로자들의 작업관련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다 양하게 이루어져왔으나 주로 스트레스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윤진, 1990; 안덕환, 1994; 이 유진, 1994; 이동배,1999), 작업관련 스트레스를 유 발하는 스트레스원과 사회적 지원이나 개인의 특성 과의 관련성 연구(이영수, 1989; 정교태,1989; 김현 주,1991),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들(이선규, 1990; 조현순,1999; 이종경,2000)이었으며, 스트레 스와 생산성, 결근, 이직 그리고 건강관리 비용의 증 대와 같은 경제적 요인들과의 상관성이 밝혀졌음에 도 불구하고 작업조건의 여러 요인들과 스트레스와 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오늘날은 전체 인구 중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45% 이상으로(통계청,2001), 어느 보건 분야보다도 대상인구가 광범위한 만큼(김모임과 조원정,1977; 공득희,1994; 이명선,1995; 송현종,1997) 근로자의 작업환경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시 대적으로도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공단에서 수행한 전국의 근로자건강실태조사자료를 근거로 근로자의 물리적, 사회적 작업환경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산업장 근로자의 보건교육 및 관리에 기 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