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일부 사무직 근로자의 휴대폰 사용과 청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Mobile Phones and Hearing Thresholds in Some White-collar Workers

우리 나라의 휴대폰 가입자수는 2 0 0 1년 1월말 기 준으로 2 , 6 7 4만 명을 넘어 전 인구의 5 6 . 6 %가 가 입하였으며(정보통신부, 2001), 2004년에 3 , 1 0 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계 되어 앞으로 계속 늘어날 전 망이다(정보통신연구원, 2000). 전세계적으로도 1 9 9 0년대 들어 휴대폰 사용 인구가 급증하였고 여러 나라에서 휴대폰에 의한 손해배상소송이 제기됨에 따라 휴대폰에 의한 건강장해 여부가 공중보건문제 에서 큰 관심과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휴대폰은 주로 주파수 8 0 0 – 1 8 0 0 M H z의 전파를 주고받는 low power radio devices이다. 현재 논 의되고 있는 휴대폰에 의한 건강장애는 매우 다양하 다.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영향으로 세포의 DNA 손상으로 인한 백혈병, 뇌종양 등의 암이 유 발(Lai & Singh, 1995; Szmigielski, 1996; Repacholi et al, 1997; Muscat et al, 2000)될 수 있으며, 고농도에 폭로 시 뇌 기능에 영향을 미쳐 단기기억력 감퇴, 수면장애, EEG 변화를 유발하기 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Mann & Roschke, 1996; Freude et al, 1998; Borbely et al, 1999; Preece et al, 1999; Hietanen et al, 2000; Koivisco et al, 2000; Krause et al, 2000). 또 혈압상승(Braune et al, 1998), 생식능력 저하 (Magras & Xenos, 1997), 눈에 대한 부작용 (Royal Society of Canada, 1999; IEGMP, 2 0 0 0 )에 대한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다. 또한 통신문 화의 발달과 생활의 편의를 가져온 휴대폰의 건강장 해에 관한 논의 이외에 사고 및 환경문제에 관한 관 심도 고조되고 있다. 인공심장박동기와 인슐린펌프, 보청기와 같은 의료기기의 오작동(Naegeli et al., 1996; Hayes et al, 1997; Darmon et al, 1998; Kompis et al, 2000)으로 병원건물을 휴대 전화 금지구역으로 지정하게 되었고, 교통사고의 발 생증가 및 사망률의 증가를 야기하여(Violanti and Marshall, 1996; Redelmeier, 1997; Dreyer et al, 1999) 운전중의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시행중이다. 또한 공공장소에서의 휴대폰에 의한 소 음공해로 인해 공공장소에 휴대폰 소음방지 장치의 설치 및 휴대전화 벨소리크기 권고기준의 기준치가 7 0 d B에서 6 8 d B로 조정되었다. 최근 국립환경연구원( 2 0 0 1 )이 국내시판 휴대폰 제 품의 소음도를 측정한 결과 소음의 정도가 7 0d B를 초과하는 경우가 1 / 3을 초과하여 휴대폰 자체에 의한 소음도 환경부( 2 0 0 0 )의 생활소음 규제기준의 주간공 사장 소음노출과 비슷하였다. 또한 휴대폰 사용 직후 사용부위의 열감, 두통, 현기증, 이상감각, 방향감각 저하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Hermann & Hossmann, 1997; Hocking, 1998; Cox et al, 2000) 더 나아가 귀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린다고 호 소하기도 한다(Paredi et al, 2001). Kellenyi et a l ( 1 9 9 9 )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A B R ( A u d i t o r y Brain Response)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폭로부위에 서 고주파영역에서 2 0 d B의 청력손실을 관찰한 바 있 다. 그러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휴대폰사용과 청력과 관련하여 시행한 연구 는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검진 시 휴대폰을 많이 사용하 는 부서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가 고주파 음역에 서 이상 소견을 보이는 자가 많아서, 휴대폰을 많이 사용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휴대폰 사용과 고주파 음역의 청각 손실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