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병원에 종사하는 정규직,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자기기입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정규직 172명, 비정규직 189명이 최종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단축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hort form), 삶의 질 측정을 위한 도구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결과: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에서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정규직은 직무요구도와 직장문화의 항목에서, 비정규직은 직무자율성, 직무불안정성, 보상부적절의 항목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유의하게 많았다. 삶의 질 수준은 정규직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 비정규직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삶의 질 수준은 달랐다. 고용형태를 막론하고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비정규직은 직장문화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이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다. 따라서 병원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적절한 관리 혹은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들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workers by type of employment. Methods: Data were obtained for 361 workers in a large hospital 172 of whom were categorized as typical workers defined by permanent employee and 189 of whom were categorized as atypical workers defined by fixed-term contraction. Job stress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Questionnaire Results: Atypical work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job-related stress in the domains of insufficient control, over work,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in the workplace compared with typical workers, who had higher scores for stress in the domains of job demands and occupational climate. Test scores also indicated that typical workers had a significantly better quality of life than atypical workers, especially in terms of mental health, social relationships and environ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factors contributing to job-related stress were different between typical and atypical hospital and typical workers are likely to have a better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