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혈액투석을 통한 만성신부전 환자의 알루미늄 제거

Aluminum Clearance by Hemodialysis in Chronic Renal Failure

지각의 약 8.5 %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은 물, 음식, 분진 등의 섭취를 통하여 끊임없이 알루미늄에 노출되고 있다(Campbell 등, 1957). 알 루미늄 1일 섭취량은 약 20 ㎎이고 개인의 섭취량은 음식의 종류에 따라 또는 알루미늄 함유 약물 섭취에 따라 크게 다르다( J o n e s와 Bennett, 1985). 섭취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온 대부분의 알루미늄은 흡수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설되며 흡수의 정도는 체내의 철분 농도 등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Huang 등, 1992). 혈장 알루미늄은 주로 t r a n sf e r r i n과 결합하고, 이는 간장, 근육, 골조직, 뇌, 비장 등의 여러 조직에 분포하며(Trapp, 1983; W i l l s와 Savory, 1983; Greger와 S u t h e r l a n d , 1997; Krizek 등, 1997; van Rensburg 등, 2000), 흡수된 알루미늄은 대부분 원위 신세뇨관을 통하여 소변으로 배설되며 일부는 담즙을 통해 배설 되기도 한다(Alfrey, 1983; Bellia 등, 1996; Krizek 등, 1997). 알루미늄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체의 장해 는 골이형성증, 빈혈, 위장관 장애, 심장독성, 간독 성, 치매, 다운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신경 병증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Cannata Andia, 1991; Schetinger 등, 1992; Fulton과 J e f f e r y , 1994; Bouras 등, 1997; Swain 등, 1997; Berg 등, 2000). 여러 경우에 알루미늄이 체내에 축적될 수 있으며, 특히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는 배설이 용이하지 않아 다량의 알루미늄이 체 내에 축적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Bolla 등, 1992; Kausz 등, 1999; Fernandez Martin과 C a n n a t a , 2000), 혈액투석을 통한 알루미늄 제거에 관한 연구 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1개 대학병원에서 만성신부전으 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혈중 알 루미늄 농도를 측정하고 정상인과 비교하였으며, 환 자들의 혈중 알루미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알 루미늄 배설에 대한 혈액투석 효과의 정도를 파악함 으로써 알루미늄 농도의 증가와 관련된 질병의 예방 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