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높은 비율의 비정규직 근로자 문제와 함께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규직 고용상태와 자살생각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1기(1998년), 제 2기(2001년), 제 3기(2005년) 및 제 4기(2007~2009년) 자료에서 20~69세의 임금근로자 13,63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고용형태는 정규직(상용직 전일제 근로자)과 비정규직(시간제,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로 분류하였으며, 조사시기별로 정규직 근로자에 비교한 비정규직의 자살생각 위험도를 포아송회귀분석에 의한 유병비(prevalence ratios)를 통해 산출하였다. 결과: 제반 변수를 보정한 결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자살생각 위험도는 여성에서 유병비 1.24~1.37로 모든 조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남성은 유병비 1.36~1.52로 제 1기(1998년)를 제외한 모든 조사에서 유의 혹은 경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통계적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비정규직 고용상태가 자살생각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적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Objectives: In light of the high percentage of nonstandard workers and the high suicide rates in South Korea since the 1997 economic crisis,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standard employment and suicidal ideation among South Korean employees.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Ⅰ, Ⅱ, Ⅲ and Ⅳ, conducted in 1998, 2001, 2005 and 2007-2009, respectively (13,632 waged workers aged 20-69 years). Employment status was categorized into standard and nonstandard (part-time, temporary and daily) employment. Prevalence ratios (PRs) for self-reported suicidal ideation were compared between nonstandard and standard workers according to each survey wave. Results: After adjusting for background variables, the risk for suicidal ideation was consistently higher among nonstandard workers in every survey wave. In women, the PRs for suicidal ideation of nonstandard workers compared with standard ones were 1.24~1.37 and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en, those PRs were 1.36~1.52 with (marginal)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for the First KNHANES (1998). Because nonstandard employment is closely related to other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these estimates are unlikely to have been underestimated.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act of employment status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need for further prospective investigation that lead to policies aimed at improving the problematic labor 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