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한 규폐결절에서 혈장 응고인자 ⅩⅢ, 트랜스글루타미네이스 3 및 Nε-(γ-glutamyl) lysine 교차결합의 증명

Identification of Plasma Coagulation Factor ⅩⅢ, Transglutaminase 3 and Nε-(γ-glutamyl) Lysine Cross-Link in the Silicotic Nodule by Immunohistochemistry

트랜스글루타미네이스(transglutaminase: E.C. 2 ,3,2 ,1 3 ,T G a s e )는 단백질의 lysine 잔기의 εN H2 가지 사슬(side chain)과 단백질의 glutamine 잔 기의 γ-amide 가지사슬 사이의 isodipeptide 교차 결합(cross-link) 형성을 촉매화 함으로써, 불용성 의 거대분자 응집물(macromolecular aggregate) 을 생성하며, 이 응집물들은 여러 가지의 세포기능 에 이용된다. TGase들은 지혈, 정액의 응고 또는 k e r a t i n o c y t e의 각화 envelope 형성시에 단백질을 교차결합 시킴으로써 특수한 기능을 하기 위하여 진 화되어온 단백질 군( f a m i l y )을 이루고 있다( F o l k & Chung, 1973; Folk, 1980). 즉 조직 T G a s e 의 교차결합 활성은 표적 단백질들의 위치에 의존해 전혀 별개의 생물학적 현상을 도와줄 수 있다. 조직 T G a s e가 세포안에서 활성화되면 세포사( a p o p t os i s )를 일으키는 세포에서 교차결합 단백질 e n v el o p e를 만드는 반면, 세포밖에서 활성화되면 세포밖 의 마트릭스를 안정화시켜 세포와 기질사이의 상호 반응을 증진시킨다. 조직 T G a s e의 합성과 활성화가 정상적으로 조직항상성( h o m e o s t a s i s )에 기여하는 방어성 세포반응의 부분인 반면, 이 효소가 섬유화, 동맥경화증, 신경변성질환, celiac병 및 암 전이와 같은 많은 병태생리학적 조건에 관여한다고 알려지 고 있다(Aeschlimann & Thomazy, 2000). 규폐증은 폐에 심한 섬유화가 특징이며, 분사기 작업자와 탄광 광부, 주물공장과 채석장 작업자 및 그 밖의 분진에 노출되는 공장 근로자에 흔히 발생 한다(American Thoracic Society, 1997). 이 규 폐증의 발생과정은 많이 알려져 있다. 즉 세포들의 증식, 세포 밖 마트릭스의 침착 및 염증세포들의 축 적등이 원인이 된 결과 생긴 폐의 섬유화 결절의 생 성이다(Davis, 1986). 본 연구실에서의 과거의 연구결과(Lee et al., 1993), 유리규산을 기도에 주입한지 6주째의 폐로부 터 겔 크로마토그라피의 방법으로 확인한 T G a s e들 은 분자량이 27, 50 및 95 KDa인 반면, 대조군의 폐에서는 95 KDa의 T G a s e만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로 보아 T G a s e들의 여러가지 i s o e n z y m e 가운데 어느 효소들이 규폐증 형성에 관여하는지의 의문점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규폐증 형성에 어느 형의 T G a s e들이 관여 하고 또한 혈액 응고인자 X I I I도 관여하는지와 이들 T G a s e들에 의해서 촉매화된 반응산물인 N ε – (γglutamyl) lysine 교차결합이 생성되는지의 여부를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추구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행 하였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